한국 언론, 아프간 피랍 사태에 대해 올바른 입장 채택
한국 언론, 아프간 피랍 사태에 대해 올바른 입장 채택
  • 위키리크스한국
  • 승인 2017.01.09 19:35
  • 수정 2017.01.09 1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서번호 생성일 분류 출처 태그
07SEOUL2361 2007-08-07 07:38 미분류/공무외 사용금지 주한미국대사관



  • 미분류 SEOUL 002361

  • 국방부망 배포1)

  • 국방부망 배포

  • 민감함

  • 작전 사령부는 주한미군 사령부 연합 합동 참모 비서실에 전달 바람2)

  • 행정명령 12958: 해당없음3)

  • 태그: PREL4), PROP5), PTER6), KS7), AF8)

  • 제 목: 한국 언론, 아프간 피랍 사태에 대해 올바른 입장 채택

  • 번역자: PoirotKr (트위터 사용자명) — Micheal H. Rhee 2013/09/07 20:43



요점




1. (민감하지만 미분류) 요점: 8월 6일 주한미국대사관 공보참사관과 함께한 회동에서 한국의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3대 일간지 중 하나의 선임 기자는 아프간 피랍사태에 대해 미합중국을 비난한다든지 또는 반미주의나 냉소적인 정치적인 공격의 빌미로 이용되지 않도록 한국민에게 권고하는 논조를 의식적으로 취하기로 주류 언론사들을 결정했다고 설명하였다. 요점 끝.

2. (민감하지만 미분류) 8월 6일 공보참사관과 공보참사관대리는 한국 언론계의 “맏형”으로 일컬어지는 김영희 중앙일보 대기자와 함께 오찬 회동을 하였다. 71세인 김영환은 매달 칼럼을 쓰고, 한 주에도 몇 번씩 뉴스 분석에 기여하는 등 기자로서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한때는 워싱턴 특파원을 지낸 그는 중앙일보와 관계를 맺은 외국계 싱크 탱크, 그리고 여타 외부 기관과의 많은 교류에서 중앙일보를 대표하는 등 교류 자칭 중앙일보의 “외교부 장관” 역할을 하였다. 중앙일보의 의무적인 정년은 55세라는 사실에서 중앙일보가 김영희 씨의 역량에 부여하는 가치를 말해주고 있다. 내년이면 김영희는 깨지지 힘든 기록인 기자 생활 50돌이 되는 해로 축하할 예정이다.

3. (민감하지만 미분류) 논의는 현재 진행 중인 아프간 피랍 상황으로 빠르게 전환되었다. 금일 동아일보의 논설, 그리고 지난 며칠간 조선일보 중앙일보에 등장한 비슷한 논설과 칼럼 내용에 대해 언급하던 김영희는 신조어 “조중동”으로 대변되는 주류언론사들은 2002년 한국 대선에서 정점으로 치달았던 바 있는 미국을 때리기를 목표로 하는 틈새 언론사나 정치 운동권이 이슈를 선점하지 못하도록 의식적인 결정을 내려왔다고 말하였다.

4. (민감하지만 미분류) 조중동 3사 소속 언론인들이 그 전략에 대해 실제 논의를 했는지 묻자, 김영희는 그렇건 아니지만, 이 문제가 일종의 선임 언론인들이 커피를 앞에 두고 논의하는 우려 사항이라고 말하였다. 그러므로 공동의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공공연한 조율 과정은 없었지만, 조중동 3사는 피랍 문제로 이슈를 선점당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확고하기에, 지난주 몇몇 주요 논설이나 칼럼 등에서 아프간 피랍 사태의 책임이 미국에 있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5. (민감하지만 미분류) 김영희 씨는 “3대” 신문사의 언론인들은 2002년 두 여중생의 사망 사고에 대한 왜곡된 보도가 그 해 한국 대선 결과의 핵심 요인이었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인식하고 있다고 말하였다. 그는 2002년 조중동의 실수는 (1) 주로 선거 소식 자체 등 다른 소식에 정신을 빼앗겼다. 그리고 (2) 여중생 사망 소식이 미국과 한미동맹을 두들겨 패고, 대선에서 영향을 미치는 매개체가 될 잠재성을 현저하게 과소평가하였다. 김영희 씨에 의하면, 주요 언론사들이 이번에 그런 일이 다시는 없도록 중앙일보는 지금까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와 마찬가지의 논조를 따라왔다고 한다.

6. (민감하지만 미분류) 대사 직무 대리가 함께한 감정이 뒤섞인 피랍자 가족들과 회동을 되새기던 공보참사관은 피랍자 가족들이 주한미국대사관의 우려와 지원에 대해 깊은 감사의 표시를 했고, 그 결과 피랍자 가족들이 시민 단체나 여타 진보적인 활동가들이 미국을 비판하거나 반대하는 시위를 삼가 달라고 요청했다고 지적하였다. 김영희 씨는 동의하며 말하길, 자신이 보기에 가족들이 비판에 잠겨 있지만, 이번 사건으로 야기된 한국정부의 당혹감, 그리고 경제적 부담, 그 밖에도 자국 정부와 같은 국민으로서 그들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의 입장을 강요받는 등 야기된 막대한 부담에 대해 뼈저리게 인식하고 있었다고 말하였다. 어떤 일이 있어도 피랍자 가족들은 아프간 피랍자 문제가 국내 정치 문제가 되는 운명은 원하지 않는다고 김영희는 말하였다. 피랍자 가족들이 이번 피랍 사태를 계속 탈정치화하는 데 성공할지 말지는 전적으로 그들 손에 달린 것은 아니지만, 한국사회가 과거 몇 년에 걸쳐 많은 걸 배웠다고 그는 믿는다며, 일각에선 정반대의 상황을 바라지만, 피랍사태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건 간에, 그는 이 문제가 2002년 사고의 수준으로 올해 선거에서 변수로 부상한다고 판단하지 않았다.

7. (민감하지만 미분류) 논평: 미 대사관은 아프간 피랍 문제에 대한 국내 언론 보도를 계속해서 예의 주시할 예정이지만, 지금까지는 주류 언론사들이 아마 여느 때와는 다르게 바른 판단을 하고 있어 보인다.
스탠튼

저작권자ⓒ 위키리크스 한국(공유 허용)-무단복제, 전재 금지


원본 내려받기




07SEOUL2361.rtf

UNCLAS SEOUL 002361
 
SIPDIS
 
SIPDIS
SENSITIVE
 
COMM CENTER PLEASE PASS TO COMUSKOREA SCJS
 
E.O. 12958: N/A
TAGS: PREL PROP PTER KS AF
SUBJECT: KOREAN MEDIA TAKES THE RIGHT LINE ON AFGHAN HOSTAGE CRISIS
 
 
¶1. (SBU) SUMMARY: In an August 6 meeting with Embassy Seoul PAO, a
senior writer for one of Korea's three largest and most influential
national dailies explained that the mainstream media have made a
conscious editorial decision to advise Koreans not to blame the
hostage crisis on the United States or allow it to be used as an
excuse for cynical political attacks and anti-Americanism. End
Summary.
 
¶2. (SBU) On August 6 PAO and Acting Deputy PAO met over lunch with
Kim Young-hie, Senior Writer for Joong-ang Ilbo, who is viewed by
many as the "Dean" of Korea's journalists. At 71 Mr. Kim remains
fully engaged with his profession, penning a monthly column and
contributing news analyses several times a week. A one-time
Washington correspondent, he also serves as the self-described
"Minister of Foreign Affairs" for the paper, representing Joong-ang
Ilbo in its many interactions with foreign think tanks and other
outside organizations with which Joong-ang has relationships. The
fact that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at Joong-ang Ilbo is 55
speaks to the value his organization places on Mr. Kim's talents.
Next year in fact, Mr. Kim will celebrate 50 years as a journalist,
a record unlikely to soon, if ever, be broken.
 
¶3. (SBU) The discussion quickly turned to the ongoing Korean
hostage situation in Afghanistan. Citing an editorial appearing
that morning in Dong-A Ilbo and similar editorials and op-ed pieces
that had appeared in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over the past
several days, Mr. Kim said that the mainstream media, which he
described with the neologism "CHOJOONGDONG"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had made a conscious decision not to let the
fringe media and political activists steal the issue in order to
bludgeon the U.S. as they had in the heat of the 200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4. (SBU) Asked if journalists from the three papers had actually
had a meeting about this strategy, Mr. Kim said not as such, but it
was the kind of concern that senior journalists discussed over
coffee and on the fringes of any number of receptions and meetings
on other topics. Thus, while there had been nothing as overt as a
coordinating session to work out a common strategy, there was at all
three papers, he said, a serious determination not to let this issue
be hijacked, and hence the prominence of several editorials and
op-ed pieces of the previous week or so arguing that responsibility
for the hostage crisis did not lie with the U.S.
 
¶5. (SBU) Mr. Kim said journalists at the "big three" newspapers were
acutely aware that the distorted coverage of the accidental deaths
of the two Korean school girls in 2002 was a key factor in the
election results that year. He said the mistakes the papers made in
2002 were that (1) they were distracted by other stories, mainly the
election itself, and (2) they drastically underestimated the
potential of that story as a vehicle with which to hammer at the
U.S. and the U.S.-ROK alliance and influence the election.
According to Mr. Kim, the mainstream media were not going to let
this happen again, and so far Joong-ang Ilbo had followed that
editorial line as had both Chosun Ilbo and Dong-a Ilbo.
 
¶6. (SBU) Recalling the emotion-laden meeting the Charge had had with
the families of the hostages, the PAO noted that the family members
present had expressed deep appreciation for the Embassy's concern
and support, and that subsequently the family members had requested
civic organizations and other progressive activists to refrain from
demonstrations against and criticism of the U.S. Agreeing, Mr. Kim
said that, in his view, the families, even in their grief, were
acutely aware of the embarrassment to Korea this incident had caused
and the tremendous burdens, financial and otherwise, their own
government and fellow countrymen were being forced to assume on
behalf of them and their loved ones. The last thing in the world
these people wanted, Mr. Kim said, was to make the fate of the
hostages a domestic political issue. Whether or not they would
succeed in keeping the situation non-political, according to Mr.
Kim, was not entirely in their hands, but he believed Korean society
had learned a lot in the past few years and, despite wishes to the
contrary among some quarters, he did not see the issue, whatever the
outcome, rising to the level of the 2002 incident as a factor in
this year's election.
 
¶7. (SBU) Comment: Post will continue to closely monitor domestic
Korean media coverage of the hostage issue, but to date we are
pleased to see that the mainstream media are, perhaps
uncharacteristically, getting it right. End Comment.
 
STANTON




1)
번역 주: SIPDIS, Siprnet Distribution

2)
COMM CENTER PLEASE PASS TO COMUSKOREA SCJS

3)
N/A

4)
[External Political Relations]

5)
[Propaganda and Psychological Operations]

6)
[Terrorists and Terrorism]

7)
[Korea (South)]

8)
[Afghanistan]

kbs1345@naver.com

기자가 쓴 기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