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 기회, 깐부 찾아라②] 현지와 손잡은 '삼양식품', 매운맛으로 외국인도 홀린다
[위기가 기회, 깐부 찾아라②] 현지와 손잡은 '삼양식품', 매운맛으로 외국인도 홀린다
  • 장은진 기자
  • 승인 2021.12.10 07:25
  • 수정 2021.12.10 1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 사태가 2년째 이어지면서 모든 산업군이 극심한 변화를 겪고 있다. 대기업도, 소상공인들도 모두 큰 변화 앞에 서 있다. 급변하는 시대 혼자서 모든 일을 해결하긴 힘들다. 살아남기 위해 나만의 파트너는 필수다. 잘 통하는 파트너 한 명은 열 명분의 일을 해결한다. 이에 많은 기업들이 M&A, MOU 등 방법으로 자신의 파트너 찾기에 나섰다. 코로나19 시대 급변하는 상황 속 기업들이 찾은 이색 파트너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주>

불닭브랜드 [사진제공=삼양식품]
불닭브랜드 [사진제공=삼양식품]

■ 불닭브랜드, 국내 시장서 스터디셀러로 자리매김

국내 매운맛 돌풍을 일으켰던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이 출시한지 벌써 8년이 지났다. 시즌성 상품으로 끝날 것이란 업계 예상와 달리 불닭볶음면의 인기는 8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하다.

불닭볶음면은 2012년 4월 출시 이후 2016년 1천억 원 돌파, 지난해 2천825억 원을 돌파하는 등 가파른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져, 2012년 1억 원이 안 되던 매출은 매년 세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7년 내수 판매를 앞질렀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의 이런 흥행을 앞세워 '불닭브랜드'까지 내놨다. 불닭브랜드로 전환되면서 기존 라면에서 국한됐던 제품군은 식료품 전반으로 확대됐다.

실제 삼양식품은 '불닭'이 붙은 제품을 벌써 10가지 이상 출시했다. 이들의 상품군은 비빔라면·양념장·스낵 등 다양하다. 높은 브랜드력을 가진 '불닭'이 다른 사업부로 확산되면서 매출효과도 톡톡히 올리고 있다. 실제 현재 스낵·조미소재·유가공사업부 등 삼양식품의 비(非)면류사업부의 매출 비중은 불닭브랜드를 선보인 이후 10~11%로 늘어났다.

다만 이 같은 전략이 무분별한 브랜드 확장 아니냐는 우려섞인 시선도 있다. 면류에서 벗어난 소스, 스낵류로 제품군을 넓혀나가는 게 자칫 애써 키운 브랜드파워력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허나 삼양식품은 '불닭'에 기초한 수평적 브랜드 확장은 각기 다른 소비자층을 공략하기 좋아 긍정적 부분이 더 클것이라 보고 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불닭브랜드를 단 여러 종류의 면류 및 스낵을 개발하는 건 제품별 타깃소비자를 넓혀나가기 위한 것"이라면서 "이는 오지리널 불닭볶음면의 매출 증가를 이끌어내는 긍정적 효과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9 KCON LA 박람회. [사진제공=삼양식품]
2019 KCON LA 박람회. [사진제공=삼양식품]

■ "맛있게 매운맛"…외국인들 입맛까지 제대로 공략

삼양식품의 경우 이미 지난 2019년 해외 매출 비중이 국내를 앞섰다. 2018년 해외 매출 비중은 42.6%였지만, 올 상반기 기준으로는 57.9%까지 뛰었다.

삼양식품의 해외사업부문은 2016년 불닭볶음면이 'Fire noodle challenge'를 통해 세계에 알려진 이후 빠르게 성장 중이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4년간 해외부문의 연평균성장률은 41%를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전체 매출에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26%에서 57%로 대폭 증가했다.

삼양식품의 경우 수출국이 어느 한 지역에 치우지 않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만 하다. 실제 삼양식품은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 국가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약 85개국에  수출 중이다.

수출 규모도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중국은 삼양식품의 최대 수출국으로 2016년 수출 이후 4년 만에 매출이 3배 넘게 증가했다. 수출 제품 중 불닭볶음면은 중국 내 매운볶음면 제품 중 소비자 선호도 1위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유명 해외 라면 업체에서도 유사 제품을 선보일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 다음으로 수출 규모가 큰 시장인 동남아시아는 전체 수출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삼양식품은 진출 초기부터 불닭볶음면의 KMF 할랄, MUI 할랄 인증을 통해 무슬림 인구가 많은 동남아시아 시장을 공략했다. 현재 신제품 출시에 따라 할랄 인증 품목 수를 늘리고, 국가별 전략을 수립해 매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폭발적인 수출 성장세에 힘입어 삼양식품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코트라(KOTRA)가 인증하는 ‘2020년도 세계일류상품 및 생산기업’에서 라면 품목 생산기업으로 신규 선정됐다. 세계 일류상품 라면 품목 생산기업에 새롭게 이름을 올리며 수출 경쟁력을 인정받게 된 셈이다.

UAE 사르야社와 독점 공급 및 유통 계약 체결. [사진제공=삼양식품]
UAE 사르야社와 독점 공급 및 유통 계약 체결. [사진제공=삼양식품]

■ 본격 해외시장 공략, 현지법인서 맞춤형 제품생산

삼양식품은 그동안  해외 생산공장 없이 수출 물량 전량을 국내에서 생산했다. 하지만 최근 해외사업 내실 강화에 주력하면서 현지공장 및 판매 법인 설립해 지역 맟춤형 제품생산까지 선보이고 있다. 

특히 삼양식품의 해외진출은 현지기업들과 함께 이뤄진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실제 현지 대형 유통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유통망을 확보해 자사의 부족한 점을 해결했다.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중동시장이다. 실제 삼양식품은 지난달 '사르야 제너럴 트레이딩(SARYA GENERAL TRADING)'시와 아랍에미레이트(UAE) 독점 공급 계약 및 중동 진출 확대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르야 제너럴 트레이딩은 아부다비를 거점 지역으로 한 사르야 홀딩스의 관계사로 중동지역에서 풍부한 자금과 유통망을 갖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베트남 지역도 현지 1위 유통 사업자인 '사이공 쿱(SAICON CO.OP)' 그룹과 계약했으며 태국의 경우 수입 전문 유통기업 '시노 퍼시픽(Sino Pacific)'사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삼양식품에서 직접 현지법인을 설립한 지역도 있다. 중국, 일본, 일본 등 지역이다. 최대 수출 지역인 중국의 경우 지난 10월 '삼양식품상해유한공사'란 이름의 현지 판매법인 설립했다. 삼양식품은 해당 법인을 통해 오프라인 판매 채널 확대와 더불어 현지 시장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제품을 선보여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미국은 최근 한국 라면에 대한 인지도 상승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삼양식품에서 직접 관리하는 모양새다. 실제 삼양식품은 지난 8월 미국에 '삼양아메리카' 설립해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등 기존에 수출하던 제품 외에도 타파티오 라면 등 현지 맞춤형 제품까지 내놓고 있다.

일본은 2020년 진출한 판매법인 '삼양재팬'을 통해 계속 현지 입지를 다져간다는 방침이다. 불닭브랜드를 앞세워 매출 기반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지난해 불닭볶음면 오리지널, 까르보불닭볶음면, 치즈불닭볶음면을 일본 전용 패키지로 출시한 데 이어 올해는 핵불닭볶음면, 불닭소스 3종 등을 선보였다.

[위키리크스한국=장은진 기자]

jej0416@wikileaks-kr.org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