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학자들 현상 유지에 경고
한미동맹 학자들 현상 유지에 경고
  • 위키리크스한국
  • 승인 2017.01.09 19:38
  • 수정 2017.01.09 1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서번호 생성일 분류 출처 태그
08SEOUL1532 2008-08-04 02:44 기밀 주한미국대사관



  • 기 밀 SEOUL 001532

  • 국방부망 배포1)

  • 행정명령 12958: 비밀해제: 08/04/2018

  • 태그: MARR2), PREL3), PGOV4), KS5), KN6)

  • 제 목: 한미동맹 학자들 현상 유지에 경고

  • 분류자: 공관차석 대리 조셉 윤7), 근거 1.4 (b,d).

  • 번역자: PoirotKr (트위터 사용자명) — Micheal H. Rhee 2013/03/23 12:03



요점




1. (기밀) 요점. 전직 장관들과 대사를 포함한 한국 최고의 전문가들과 함께한 최근 일련의 논의에서, 흔한 주제가 등장했다: 비록 한미동맹이 지난 반세기 동안에 한국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번영을 가져왔지만, 북한은 예전과 같이 더는 군사적 위협이 되지 않는다. 그 결과 미국은 그 존재의 의미를 유지하려면 반드시 이러한 현실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한미동맹을 변혁해야만 한다고 그들은 주장한다. 주한미군 재배치나 전시 작전통제권 이양과 같은 한미동맹 변환 문제가 중요함을 인정하는 가운데, 이들 전문가는 미국은 한국정부의 정치적 취약성에 대한 고려와 적절한 조처를 하는 가운데, “참을성”을 당부하였다. 요점 끝.


인식의 전환과 현실




2. (민감하지만 미분류) 한미동맹의 미래를 다룬 최근 일련의 원탁회의에서 한국 최고의 안보 및 한미동맹 전문가들이 제시한 주요한 견해는 한미동맹이 진공 상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한미동맹이 고유의 임무인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저지하는 데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21세기에도 한미동맹이 성공하려면, 오늘날의 주변 상황을 담아내고, 변화된 한국 국민의 인식 속에 자리한 한미 동맹의 현재 모습과 기능, 그리고 미래에 담아야 할 모습을 반영하는 동반자 관계로 반드시 진화해야만 한다.

3. (민감하지만 미분류) 원탁회의에서 전문가들이 지적한 가장 중요한 인식의 변화를 한가지 꼽자면, 대부분의 남한 사람들이 더는 북한을 남한의 주요한 안보 위협으로 보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런 이유로, 한미동맹이 존속할 타당한 이유로 북한의 위협은 그 빛이 퇴색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오히려 남한은 지금 역내 위협이 (특히 오랜 어두운 역사를 공유하고 있는 일본과 중국) 미래의 남한 안정에 커다란 위협이 될 거라고 보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한국은 여전히 미국의 한반도 주둔이 역내 안정에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2006년 세계 갤럽 여론조사에 의하면, 절반이 조금 안 되는 43퍼센트의 한국인이 북한의 핵무기를 심각한 위협으로 여겼지만, 3분의 2에 가까운 66퍼센트 한국민은 미국의 철수가 북동아시아의 안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거라고 믿고 있다. 오히려 한미동맹으로 북한의 비핵화 노력을 비롯해 역내 안정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궁극적인 평화 통일을 촉진하도록 해야 한다.

4. (민감하지만 미분류) 두 번째로 한미동맹 변혁의 핵심 구성요소 중에서 한미동맹에 영향을 미칠 핵심 현안에 대한 고려가 가장 중요하다며, 특히 한반도 상의 전시 작전통제권 한국 이양 노력과 미군의 재배치를 학자들은 강조하였다. 다수는 이 두 가지 현안이 한국 내부의 일부 반발에 직면해 있는데, 특히 이명박 정부와 보수적인 특정 한나라당 의원들 사이에서 그렇다. 전문가 대다수는 한반도 현상 유지는 “치명적인 실수”가 될 거라고 결론 내렸다. 한국이 자국의 안보에 대해 더 많은 통제와 책임을 지는 데 한국민들은 대체로 지지한다.

5. (민감하지만 미분류)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과 책임의 증대는 원탁회의에서 역시 주요한 주제였다. 6월 24일 “한미전략동맹” 세미나에서, 고려대학교 김성한은 특히 인도주의와 평화유지 노력을 등 포괄적인 범위의 비군사적 협력을 주장하였다. 한국정부는 이라크, 아프간, 그리고 레바논에 평화유지군 파병을 비롯해 수차례 그와 같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학자들은 한국정부가 국제무대에서 공헌하게 된 한국정부의 주된 동기는 그 일이 꼭 옳다는 믿음의 발로라기 보다는, 미국 정부를 달래기 위한 거라고 강조하는 주장을 펼쳤다. 한편, 한국 국민에 대해서, 학자들은 한국민이 한국의 국제적 참여 증대에 대한 생각에 대체로 찬성한다는 데 견해를 같이 하였지만, (아마도 근거가 미약한) 한국이 이미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고 한국의 참여에 대해 더 많은 국제적인 인정과 존중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믿고 있다. 한국의 기여 정도와는 관계없이, 학자들과 한국민은 미래 한국정부의 기여 노력은 단순히 미국이 다른 국가의 기여를 원하기 때문이 아니라, 아직 정립되지 않은 한국의 이해관계를 더 잘 반영해야만 한다는 데 견해를 같이한다. 전문가들은 미합중국은 이런 현실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국제무대에서 한국 스스로 국제적인 역할을 정립하도록 한국에 너무 많은 요구와 기대를 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버시바우

저작권자ⓒ 위키리크스 한국(공유 허용)-무단복제, 전재 금지


바깥 고리



원본 및 내려받기




08SEOUL1532.rtf

C O N F I D E N T I A L SEOUL 001532
 
SIPDIS
 
E.O. 12958: DECL: 08/04/2018
TAGS: MARR [Military and Defense Arrangements], PREL [External Political Relations], PGOV [Internal Governmental Affairs], KS [Korea (South)], KN [Korea (North)]
SUBJECT: ALLIANCE SCHOLARS CAUTION AGAINST MAINTAINING THE
STATUS QUO
 
Classified By: A/DCM Joseph Y. Yun, Reasons 1.4 (b,d).
 
¶1. (C) SUMMARY. In a series of recent discussions with top
Korean experts, including former ministers and ambassadors, a
common theme emerged: although the U.S.-ROK Alliance has
brought Korea peace, stability, and prosperity for the last
half-century, North Korea no longer poses the military threat
it once did. As a result, to remain relevant, the U.S. must
recognize this reality and transform the Alliance
accordingly, they argued. While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Alliance transformation issues, such as USFK realignment
and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the
experts cautioned U.S. "patience," taking appropriate measure
and consider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political
fragility. END SUMMARY.
 
--------------------------------
SHIFTING PERCEPTIONS AND REALITY
--------------------------------
 
¶2. (SBU) Chief among the opinions presented by top Korean
security and alliance experts in a series of recent
roundtable discussions of the future of the U.S.-ROK Alliance
was that the alliance does not exist in a vacuum. There was
little argument that the Alliance succeeded in its original
mission of deterring a North Korean military threat. But
there no disagreement that to succeed in the 21st century,
the Alliance must evolve into a partnership that reflects
today's circumstances and significant shifts in the average
Korean citizen's perceptions of what the Alliance's form and
function are and should be in the future.
 
¶3. (SBU) The single most significant shift in perception
noted by the roundtable experts was that most South Koreans
no longer see North Korea as the South's primary security
threat. As such, many scholars argued that the North Korean
threat was fading as a valid justification for the U.S.-ROK
Alliance's existence. Rather, South Korea now views regional
threats ) specifically from Japan and China with whom they
share a long and at times, dark history ) pose the greater
risk to South Korea's future stability. For this reason,
most scholars acknowledged that Koreans still see U.S.
presence on Peninsula as important for regional stability.
According to a June 2006 World Gallop Poll, although less
than half (43%) of Koreans feel seriously threatened by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two-thirds (66%) of Koreans believe a
U.S. withdrawal from their country would greatly impact the
stability of Northeast Asia. Rather, the Alliance should
enable continued regional security, including efforts to
denuclearize North Korea, as well as facilitate the eventual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4. (SBU) A second important consideration, scholars
emphasized, was that the core component of Alliance
transformation should be on issues affecting the core of the
Alliance, specifically the on-Peninsula efforts to transfer
wartime OPCON to the ROK military and the realignment of U.S.
forces on the peninsula. Many acknowledged that these two
issues faced some opposition within Korea, particularly among
certain conservative Grand National Party members and Lee
Myung-bak's administration. But the majority of experts came
to the conclusion that maintaining the status quo on the
Peninsula would be a &fatal mistake.8 In general, there
was support among Koreans for Koreans assuming greater
control and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security.
 
¶5. (SBU) An increased Korean role and responsibili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s a common theme in the roundtable
discussions as well. At a June 24 seminar on "The ROK-U.S.
Strategic Alliance," Korea University's Kim Sung-han called
for a broader U.S.-ROK Alliance that encompasses a range of
non-military cooperation, particularly humanitarian and
peacekeeping efforts. The ROKG has made a number of such
contributions, including sending peacekeepers to Iraq,
Afghanistan, and Lebanon. However, scholars made a point to
emphasize that the ROKG's primary motivation in contributing
on the global stage is to placate the U.S. government, not
necessarily due to a belief that it is the right thing to do.
For the Korean public, on the other hand, scholars agree
that they generally support the idea of increased global
participation, but believe (perhaps unjustifiably) that Korea
already contributes significantly and deserves more
international recognition and respect for its participa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contribution, scholars and the
public agreed that future ROKG endeavors should better
reflect Korea's still undefined interests rather than merely
what the United States' wants other countries to contribute.
The experts stressed that the United States needs to
understand this reality, and thus not expect or demand too
much in return from ROK on the global stage, letting Korea
define its own international role.
VERSHBOW




1)
번역 주: SIPDIS, Siprnet Distribution

2)
[Military and Defense Arrangements]

3)
[External Political Relations]

4)
[Internal Governmental Affairs]

5)
[Korea (South)]

6)
[Korea (North)]

7)
A/DCM Joseph Y. Yun

kbs1345@naver.com

기자가 쓴 기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