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INSIDE] 대형건설사 안전 인력 쟁탈전 벌이는데...중소는 인력없어 고전
[건설 INSIDE] 대형건설사 안전 인력 쟁탈전 벌이는데...중소는 인력없어 고전
  • 박순원 기자
  • 승인 2022.01.26 07:55
  • 수정 2022.01.26 13: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형건설-중소형, 안전 영역에서도 양극화 현상
[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중대재해법 시행을 앞두고 대형건설사들이 안전 인력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대형사의 경우 경쟁을 벌이며 인력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중소형 사는 기존 인력을 지키기에도 버거운 분위기다.

26일 건설사 취업 플랫폼 건설워커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과 롯데건설, 태영건설 등 대형건설사는 건설현장 안전관리자를 구인 중이다. 경력을 3년 이상 갖춘 안전관리자의 경우 연봉 8000만원이 책정돼 건설인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폴란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해외 현장에서 근무할 안전관리자를 채용하고 있다. 해외현장에서 3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자로 안전 관련 자격증(산업안전기사·건설안전기사)을 소지한 건설인이 구인 대상이다.

롯데건설은 지난 11일부터 채용 시까지 안전관리자(안전팀장)를 채용 중이다. 7년 이상 경력을 자를 우대하며 근무지는 경남 창원 음폐수 바이오에너지화시설 현장이다. 태영건설도 오는 31일까지 경기 남양주시 현장에서 일할 안전관리자를 모집하고 있다. 자격 요건은 3년 이상의 경력자다.

그동안 안전·보건팀은 건설사의 주력 부서가 아니었다. 건설업계는 안전 관련 인력을 비정규직 형태로 채용해 온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일이 다가오며 안전 관련 인력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에 따르면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 사업장은 안전관리자를 의무 배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건설사들은 중대재해법 시행을 앞두고 사고 예방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최근 종전 2개 팀이던 안전환경실을 7개 팀의 안전보건실로 확대 개편하고 안전 전담 연구 조직인 ‘건설안전연구소’를 별도로 만들었다. 롯데건설도 기존 안전·보건 부문을 대표 직속의 ‘안전보건경영실’로 격상했다. 호반건설은 안전 부문 대표이사직을 신설했다.

최근에는 대형건설사를 중심으로 안전관리자 정규직 채용 사례도 나오고 있다. 또 직원들에게 안전관리사 자격증을 따면 다양한 인센티브를 내거는 기업도 등장했다. 기존 중소형사에서 일하던 안전 인력이 대형사로 이직했다는 이야기도 심심치 않게 전해진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단기간에 수요가 몰려 안전관리자 구하기가 쉽지 않다”며 “대형사의 경우 높은 연봉을 통해 인력 충원이 가능하지만 중소형 사는 이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중소형 건설사들 사이에선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중대재해법 시행 유예기간 설정과 지원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중대재해처벌법 준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53.7%가 “시행일에 맞춰 법적 의무사항 준수가 불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이유는 예산 부족 때문이다.

중소형 건설사 한 관계자는 “대형건설사들은 일거리가 많아 안전 인력을 상시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중소형사의 경우 인원이 적어 안전부서에 정규 인원을 배치하기 어려움이 있다”며 “안전 영역에서도 대형사와 중소형 간의 양극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위키리크스한국=박순원 기자]

ssun@wikileaks-kr.org

기자가 쓴 기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