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PACE] 제임스 웹 망원경 L2 성공 안착... “우주의 끝을 보여 주마”
[WIKI SPACE] 제임스 웹 망원경 L2 성공 안착... “우주의 끝을 보여 주마”
  • 박순원 기자
  • 승인 2022.01.26 18:43
  • 수정 2022.01.27 0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 지구와 일직선을 그리는 라그랑주2(L2) 지점에 진입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상상도. [출처=NASA]
태양, 지구와 일직선을 그리는 라그랑주2(L2) 지점에 진입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상상도. [출처=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지구에서 160만km 떨어진 관측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제임스웹은 지난 1996년부터 제작비만 100억 달러(약 12조원) 투입된 우주망원경으로 약 138억년 전 빅뱅 직후 초기 우주를 관측해 우주연구 발전에 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천문학계는 기대하고 있다.

26일 항공우주업계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웹 망원경이 계획대로 작동하면서 최종 목적지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25일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지 한 달 만이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성명을 통해 "우주의 신비를 밝혀내는 데 한 걸음 더 다가섰다"고 말했다. 웹 망원경이 도착한 지점은 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제2라그랑주점'(L2)이라고 AP 통신은 전했다.

웹 망원경은 앞으로 약 5개월에 걸쳐 주경과 부경, 과학 장비 등을 미세조정하게 된다. 이 작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웹 망원경은 오는 6월부터 우주 관측에 나설 수 있다. 인류가 ‘우주의 끝’ 관측에 성공하게 될지 주목된다.

웹 망원경의 핵심 목표는 빅뱅(대폭발을 시작으로 우주가 팽창했다는 이론) 이후 약 3억 년 후인 135억 년 전의 1세대 은하를 관측하는 것이다. 항공우주 연구원들은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고 은하의 분포를 파악함으로써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실체에도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또 외계행성 대기의 구성 성분을 분석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인지 파악하는 임무도 수행하게 된다.

웹 망원경은 지난 1989년 허블 망원경의 뒤를 이을 우주관측체로 구상됐다. 나사와 ESA, 캐나다우주국(CSA)등은 제임스웹 개발 초기 20억달러(약 2조3600억원)를 들여 2011년 제작을 마무리할 예정이었지만 이후 새로운 기술이 대거 적용돼 제작 비용은 5배나 껑충 뛰었고 제작 기간도 10년 가량 지연됐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임무 수행 중인 모습을 그린 상상도. 지구에서 150만㎞ 떨어진 우주에서 운영될 이 망원경에는 관측에 방해가 되는 태양열을 가리기 위한 가림막이 다섯 겹 장착돼 있다. [출처=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임무 수행 중인 모습을 그린 상상도. 지구에서 150만㎞ 떨어진 우주에서 운영될 이 망원경에는 관측에 방해가 되는 태양열을 가리기 위한 가림막이 다섯 겹 장착돼 있다. [출처=미국 항공우주국(NASA)]

하지만 제임스웹은 기존 허블우주망원경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 제임스웹은 160만km(지구와 달 거리의 4배) ‘라그랑주 L2’ 지점에 설치돼 적외선 대역 관측도 가능해 우주의 더 깊숙한 공간을 관측할 수 있다.

다만 제임스웹의 설치 지점이 허블우주망원경에 비해 멀리 떨어져있기 때문에 발사 이후 수리 인력을 파견하기 어렵고 발사 자체가 단 1회의 미션으로 성공해야 되는 부담이 존재했다. 나사는 이 한 번의 발사를 위해 초정밀의 실험과 연습을 반복했고 제임스웹은 관측 궤도에 성공적으로 도착했다.

제임스웹은 최대 1000광년(1광년은 약 9조5000억km) 거리에 있는 행성에서 산소 분자를 확인할 수 있는 성능으로 제2의 지구도 탐색해낼 수 있다. 지구상에 설치된 천문대나 허블우주망원경으로는 불가능했던 관측이다.

천문학계 관계자는 “제임스웹은 기존 허블망원경과 달리 가시광보다 긴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관측하기 때문에 성운과 먼지에 가려 보이지 않았던 천체의 모습을 제공할 것"이라며 "특히 우주 탄생 초기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천문학 연구 발전에 혁명을 가져올 수 있겠다"고 밝혔다.

 

허블 심우주. 허블 울트라 딥 필드라고 불리며 130억 광년 거리에 있다. [출처=미국 항공우주국(NASA)]
허블 울트라 딥 필드라고 불리는 허블 우주망원경의 대표적인 심우주 사진. 약 130억 광년 거리의 은하들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미국 항공우주국(NASA)]

[위키리크스한국=박순원 기자]

ssun@wikileaks-kr.org

기자가 쓴 기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