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 불구, 주유소 감소세 가속…정유 4사 희비갈려
고유가 불구, 주유소 감소세 가속…정유 4사 희비갈려
  • 정수남 기자
  • 승인 2022.07.15 02:17
  • 수정 2022.07.15 02: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년새 주유소 15% 감소…SK 27%·GS 20% 각각줄어
​​​​​​​현대 22%·S-Oil 19% 증가…“올해 말 업계 순위 요동”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주유소가 많이 감소한 가운데,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S-Oil 주유소의 희비가 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사단법인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유가가 급등하던 2011년 3월 전국 등록주유소는 1만3348곳, 영업주유소는 1만2970곳으로 각각 사상 최고로 집계됐다.

다만, 주유소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익월부터 전국 주유소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S-Oil폴 주유소는 최근 10년간 급증했다. (위부터)2012년과 2021년 7월 각각 GS칼텍스폴 주유소와 알뜰주유소에서 S-Oil폴 주유소로 변경한 성남시 성남대로와 산성대로에 자리한  S-Oil폴 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S-Oil폴 주유소는 최근 10년간 급증했다. (위부터)2012년과 2021년 7월 각각 GS칼텍스폴 주유소와 알뜰주유소에서 S-Oil폴 주유소로 변경한 성남시 성남대로와 산성대로에 자리한  S-Oil폴 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S-Oil폴 주유소는 최근 10년간 급증했다. (위부터)2012년과 2021년 각각 GS칼텍스폴 주유소와 알뜰주유소에서 S-Oil폴 주유소로 변경한 성남시 성남대로와 산성대로에 각각 자리한 S-Oil폴 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같은 해 4월 등록주유소는 1만3299곳, 영업주유소는 1만2950곳으로 전달보다 각각 49곳, 20곳이 줄었다.

같은 기간 SK폴 주유소는 3660곳에서 3652곳(비중 36%)으로, GS칼텍스폴 주유소는 2721곳에서 2768곳(26%)으로, 현대오일뱅크폴 주유소는 2115곳에서 2114곳(19%)으로 감소했으나, S-Oil폴 주유소는 1752곳에서 1778곳(15%)으로, 무폴 주유소는 702곳에서 742곳(5.4%)으로 증가했다.

정유 4시간 주유소 증감에서 희비가 갈리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다 같은 해 12월 전국 주유소는 각각 1만3280곳과 1만2901곳으로 9개월 전보다 각각 0.5% 감소했다.

이 기간 SK폴 주유소는 3621곳(34%), GS칼텍스폴 주유소는 2167곳(26%), 현대오일뱅크폴 주유소는 2167곳(19%), S-Oil폴 주유소는 1797곳(15%), 무폴주유소 748곳(5.8%) 등 업계 상위 업체와 후발 업체간의 증감이 뚜렷했다.

국내 SK폴 주유소는 올해 사상 처음으로 점유율 20%대, 3000곳 미만으로 하락했다. 고정비용을 줄이기 위해 야간영업을 하지 않는 SK폴 셀프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국내 SK폴 주유소는 올해 사상 처음으로 점유율 20%대, 3000곳 미만으로 하락했다. 고정비용을 줄이기 위해 야간영업을 하지 않는 SK폴 셀프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2011년 전국 주유소 평균 판매가격은 리터(ℓ)당 휘발유가 1929원, 경유가 1748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2.8%(219원), 16%(243원) 급등했다.

다만, 2015년 들어 국제 유가 하락으로 국내 유가 역시 급락했다. 2015년 국내 휘발윳값은 1510원, 경윳값은 1300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7.4%(317원), 20.6%(337원)로 떨어졌다.

이들 정유 4사의 주유소는 유가 안정기에도 증감을 달리했다.

같은 해 등록주유소는 1만2737곳, 영업업소 수는 1만2717곳으로 4년 전 사상 최고 당시보다 각각 4.6%(611곳), 2%(253곳) 감소했다.

같은 기간 SK폴 주유소는 3025곳(31%), GS칼텍스폴 주유소는 2332곳(21%), 현대오일뱅크폴 주유소는 2013곳(18%)으로 각각 17.3%(635곳), 14.3%(389곳), 4.8%(102곳) 각각 줄었다.

반면, 이 기간 S-Oil폴 주유소는 1991곳(17%), 무폴 주유소 1543곳(13%)는 13.6%(239곳), 119.8%(841곳) 각각 급증했다.

현대오일뱅크폴 주유소는 2010년대 중반까지 감소했지만, 이후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지난달 말 현재 2375곳으로 점유율 20%대를 넘었다. 현재 업계 2위. 공주시 정안면 국도변에 있는 현대오일뱅크 셀프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현대오일뱅크폴 주유소는 2010년대 중반까지 감소했지만, 이후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지난달 말 현재 2375곳으로 점유율 20%대를 넘었다. 현재 업계 2위. 공주시 정안면 국도변에 있는 현대오일뱅크 셀프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이중 무폴 주유소는 정유4사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렴한 기름을 사 판매하는 주유소이며, S-Oi폴 주유소 증가는 기름의 질이 좋기 때문이다.

경기도 성남대로 복정동 구간에서 주유소를 운영하는 김 모(49, 남) 사장은 “2012년 GS칼텍스폴 주유소에서 S-Oil폴 주유소로 변경했다. 국내 정유사 기름이 좋지만, 이중에서 S-Oil 기름이 더 좋다”며 “최근 들어 고급휘발유 등 양질의 기름을 찾는 고객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다 코로나19 1년차인 2020년 11월 국제 유가가 크게 오르면서 국내 유가 역시 다시 급등했다. 여기에 올해 2월 하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고, 세계 경기가 회복하면서 유가는 연일 사상 최고를 찍었다.

실제 국내 유가에 4주간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두바이유 현물가격은 배럴당 128달러(3월 9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GS칼텍스폴 주유소는 경쟁력을 상실하면서 업계 3위로 추락했다. (위부터)전북 김제 국도변에 자리한 GS칼텍스폴 주유소와 최근 셀프주유소로 전환한 서울 방배로 GS칼텍스폴 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GS칼텍스폴 주유소는 경쟁력을 상실하면서 업계 3위로 추락했다. (위부터)전북 김제 국도변에 자리한 GS칼텍스폴 주유소와 최근 셀프주유소로 전환한 서울 방배로 GS칼텍스폴 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GS칼텍스폴 주유소는 경쟁력을 상실하면서 업계 3위로 추락했다. (위부터)전북 김제 국도변에 자리한 GS칼텍스폴 주유소와 최근 셀프주유소로 전환한 서울 방배로 GS칼텍스폴 주유소. [출처=정수남 기자]

국내 유가에 2주 정도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싱가포르 현물시장의 석유제품 가격은 배럴당 휘발유가 118달러, 경유가 139달러(7월 12일)로 역시 사상 최고를 나타냈다.

이로 인해 국내 주유소 유가도 지난달 30일 휘발유가 2144원, 경유가 21689원으로 역시 사상 최고를 경신했다.

번면, 지난달 말 현재 영업주유소는 1만1042곳으로 10년 사이 14.9%(1928곳)이 줄었다.

같은 기간 SK폴 주유소는 2929곳(26.5%), GS칼텍스폴 주유소는 2194곳(19.9%)으로 감소했다.

SK폴 주유소는 올 초 사상 처음으로 3000곳 미만으로 감소하면서 점유율도 20%대로 떨어졌으며, GS칼텍스폴 주유소도 10%대 점유율로 체면을 각각 구겼다.

현대오일뱅크폴 주유소는 2375곳(21.6%)으로 반전에 성공하면서 업계 2위로 올라섰으며, S-Oil폴 주유소는 2122곳(19.2%)로 늘면서 GS칼텍스를 바짝 뒤쫓고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 말께는 업계 순위가 요동할 것이라는 게 업계 전망이다.

무폴 주유소 1422곳(13%)으로 소폭 줄었다.

전북 부안 지방 도로변의 폐업주유소, 폐업주유소는 철거비용과 토양 복구 비용 등으로 1억5000만 원이 필요하다. 영세 주유 업자가 폐업주유소를 내버려 두는 이유다. 이 주유소 역시 20년 넘게 방치됐다, [출처=정수남 기자]
전북 부안 지방 도로변의 폐업주유소, 폐업주유소는 철거비용과 토양 복구 비용 등으로 1억5000만 원이 필요하다. 영세 주유 업자가 폐업주유소를 내버려 두는 이유다. 이 주유소 역시 20년 넘게 방치됐다, [출처=정수남 기자]

박동희 주유소협회 차장은 “정부의 알뜰주유소 정책과 함께 주유소 간 경쟁이 치열해 대부분 주유소가 전국 평균 판매량을 크게 밑돈다. 이 같은 추세라면 많은 주유소가 문을 닫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1년 연간 폐업주유소는 188곳에서 2015년에는 309곳으로 급증하는 등 매년 폐업주유소가 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정부가 1990년대 주유소 간 거리 제한을 없애고, 석유제품 가격도 정부 공시제에서 주유소 자율에 맡겼다. 현재 주유소가 정유사 공급가를 반영해 매주 초 판매가격을 결정하지만, 이윤이 대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주유소들은 자구책으로 임금 등 고정비용을 줄이기 위해 셀프주유소로 전환하고 있다. 2011년 637곳(비중 4.8%)의 셀프주유소는 2015년 2119곳(17%), 지난달 말 현재 5001곳으로 전체 주유소의 45.3%를 차지하고 있다.

[위키리크스한국=정수남 기자]

perec@wikileaks-kr.org

기자가 쓴 기사

관련기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