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사회공헌 사업으로 관내 인도와 지하철 가판을 노인과 장애인 가장 등 차상위 계층에 불하해 운영하고 있다. 이들 가판 점주는 이를 통해 신문과 잡지, 음료 등을 팔면서 생계를 유지한다. 다만, 2010년대 들어 스마트폰 보편화로 이들 가판이 폐업하고 있다.
![서울지하철 2호선 삼성역 승강장에 있는 2개의 가판이 모두 최근 문을 닫았다. [출처=정수남 기자]](/news/photo/202208/129559_114799_180.jpg)
![서울지하철 2호선 삼성역 승강장에 있는 2개의 가판이 모두 최근 문을 닫았다. [출처=정수남 기자]](/news/photo/202208/129559_114800_181.jpg)
![서울지하철 8호선 잠실역 승강장에 있는 가판도 폐업했다. [출처=정수남 기자]](/news/photo/202208/129559_114801_1859.jpg)
이 같은 가판의 추락은 2002년 다국적 무료신문 M이 국내 진출하면서부터다. 이후 2010년대에 수도권에만 10여 종의 무료신문이 경쟁하면서 가판 하루 매출의 50%를 차지하던 유로신문 매출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이후 2010년대 들어 스마트폰이 확산하면서 가판은 개점휴업 상태에 빠졌다.
![이 같은 도미노 폐업은 지상도 마찬가지다. 서울지하철 2호선 잠실새내역 4번 출구 앞 가판이 문을 닫았다. [출처=정수남 기자]](/news/photo/202208/129559_114802_2010.jpg)
![이들 가판이 문을 닫은 자리에는 대부분 임시로 먹거리 매장이 들어서지만, 이 역시 매출은 많지 않다. (위부터)지하철 2호선에서 8호선 환승 통로와 8호선 남한산성역사에 이번 주 들어선 찐빵 가게. [출처=정수남 기자]](/news/photo/202208/129559_114803_2120.jpg)
![이들 가판이 문을 닫은 자리에는 대부분 임시로 먹거리 매장이 들어서지만, 이 역시 매출은 많지 않다. (위부터)지하철 2호선에서 8호선 환승 통로와 8호선 남한산성역사에 이번 주 들어선 찐빵 가게. [출처=정수남 기자]](/news/photo/202208/129559_114804_2120.jpg)
이와 관련,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서울시가 복지사업으로 운영하는 가판은 공사가 운영하는 지하철 1~8호선 역사에 현재 132곳이 있다”면서도 “가판이 역사나 역 인근에 있는 편의점 등과 경쟁에 밀리면서 대거 문을 닫고 있다”고 설명했다.
perec@wikileaks-kr.org
저작권자 © 위키리크스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