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FOCUS] What if Trump cannot be appeased?
[WIKI FOCUS] What if Trump cannot be appeased?
  • 최석진 기자
  • 승인 2018.06.19 18:18
  • 수정 2018.06.20 06: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hocked and baffled by the results of the 2016 presidential election, America’s traditional allies in Europe and Japan fell back on two forms of conventional wisdom about President Trump.

The first view was that Trump’s seeming unreasonableness was just a mask for his inner pragmatism: He may brag and bully, but what he’s really about is the art of the deal. You can do business with a businessman.

“He’s a negotiator,” an ambassador from Europe told me, hopefully, a few days after the 2016 election. If the United States got a nickel every time someone used that phrase, there would be no national debt.

The alternative notion was that Trump was, indeed, a mercurial egomaniac but could be swayed by flattery and ceremony. Japan’s Shinzo Abe , who rushed to be the first world leader to visit President-elect Trump in the United States, tried it. So did France’s Emmanuel Macron, who rolled out the red carpet and military pomp for Trump in Paris, and then showered him with bonhomie during a state visit to Washington.

Now that Abe, Macron and company have been through the disastrousGroup of Seven meeting this past week in Quebec City, they must face this terrible possibility: What if nothing works? What if Trump cannot be appeased?

There’s been too much denial about the fact that Trump is not, and never has been, a pragmatist, or even merely a showboat; he has an ideology. You almost want to grab the allies by he lapels and scream: “What part of ‘America First’ do you not understand?”

 

During his last news conference at the G-7 summit, President Trump told reporters that countries who retaliate against U.S. trade policy are "making a mistake." (The Washington Post)
Trump does not have some finite reallocation of economic benefits and costs in mind when he says America is “like a piggy bank being robbed” by the countries with which all previous postwar presidents cultivated clos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ties — including Canada, whose Lt. Gen. Pierre St-Amand currently serves as the second-in-command of the North American Aerospace Defense Command (NORAD), the air-defense shield that protects both the United States and its northern neighbor from surprise attack.

He is expressing a grievance that has gripped his brain almost as long as, and almost as rigidly, as the belief in socialism has gripped that of Sen. Bernie Sanders (I-Vt.).

This is why the president keeps moving the goal posts in what might otherwise be productive negotiations to update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with Canada and Mexico, and why he slapped tariffs on metal imports from Europe and Japan, using “national security” as his threadbare rationale.

“My job at the White House is to help the president get jobs, good jobs, manufacturing jobs to the working men and women of America,” trade adviser Peter Navarro said on “Fox News Sunday” , “and we can’t do that unless we upset this existing world order, which basically is tremendously biased.”
Let me repeat that: American policy is to “upset this existing world order.”

Trump’s is a crude ideology, but it is hardly a new one. Its roots lie in the right-wing resistance to U.S. involvement in the wars of Europe and East Asia before Pearl Harbor.
Trump’s hostility to alliances, meant to keep the United States as a stabilizing presence in those regions after World War II, descends directly from that inward-looking, reactionary strain of prewar American politics, which turns out not to have been destroyed during the 20th century after all.

For the time being, it’s the world’s despots — whether friendly to the United States, hostile or somewhere in-between — with whom Trump seems most eager to deal: Egypt, Russia, Saudi Arabia and, of course, North Korea.

National security tariffs remain on metals from G-7 countries, but the administration eased punishments for a Chinese company, ZTE, that actually did violate U.S. sanctions by dealing with Iran.

“The president did this as a personal favor to the president of China, as a way of showing some goodwill for bigger efforts,” such as the North Korea talks, Navarro explained.
In addition to wishful thinking, the allies are guilty of the less pardonable sin of failing to address legitimate American commercial concerns more aggressively, when previous White House occupants asked nicely.

President Barack Obama’s Treasury Department mildly rebuked Germany for running up its trade surplus in 2013, and the government of his friend Chancellor Angela Merkel responded frostily.

Still, none of that justifies the rupture Trump is threatening right now. Nor does it make the allies’ predicament any easier.

Unable truly to stand on their own, they would undoubtedly prefer to give Trump some or all of what he wants to salvage their U.S. support, even at this late date.
There are just two problems: He has never specified his “ask”; and even if he did name his price, after all the insults he’s hurled, no one could pay it without accepting humiliation.
If the allies really want to know what it means to accommodate Donald Trump, they should ask the experts: America’s Republican politicians. They can start with “Lying Ted” Cruz.

 

[WIKI 프리즘] 트럼프를 달랠 수 없으면 어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노동자들의 구세주인가? 세계 경제의 골칫거리인가? 

G7정상회의에 참석한 트럼프 대통령은 일정 내내 캐나다의 튀르도 총리를 포함한 6개 국가 정상들과 철강 관세 등을 놓고 갈등을 빚었고 북미정상회담 참여를 이유로 일찍 자리를 떠버리는 결례도 서슴지 않았다.

트럼프는 이후 나머지 국가들이 G7 명의로 '관세·비관세 장벽과 보조금을 줄여나가겠다'는 원론적인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을 때 승인을 거부하기도 했다.

도대체 트럼프는 생각이 있는 지도자인가, 아니면 세간에 회자되듯 정말로 순간적인 감정에 치우치기 잘 하고, 아첨에 약한 종잡을 수 없는 인물인가?

워싱턴포스트는 최근 G7 회의와 북미 정상회담 등을 둘러싼 일련의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분석하는 칼럼니스트 찰스 레인의 분석 기사를 실었다.

찰스 레인은,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노동자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세계 질서쯤은 아무렇지도 않게 뒤집을 수 있으며, 그 기저에는 2차 세계대전 이전에 세계 문제에 불간섭을 표방하던 미국 정치권의 원칙이 자리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가 끝나자 일본과 유럽 내 미국의 전통적 우방 국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그간의 통념에 의지하고자 했다.

첫번째 통념은 겉보기에는 비합리적인 것처럼 보이는 트럼프의 성향은 사실은 실용주의를 위한 위장전술이라는이라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장되고 위협적으로 보이지만 그의 주된 관심사는 계약 또는 협상에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비즈니스맨과는 비즈니스를 할 수 있지는 않겠는가.

 “그는 조정자이지요.”

2016년 트럼프가 당선된 지 며칠 뒤 유럽 출신의 외교관이 이렇게 희망석인 전망을 내놓았다.

두번째 통념은 트럼프가 실제로는 변덕이 죽 끓듯 하는 자기중심적인 인물이긴 하지만 아첨과 예절을 잘 갖추면 쉽게 요리할 수 있는 정치인이라는 주장이다.

트럼프 당선 후 득달 같이 달려와서 트럼프를 방문한 최초의 지구촌 지도자가 된 일본의 아베 총리가 이를 시험에 옮겼다. 프랑스의 지도자 엠마뉴엘 마크롱도 이 주장을 실천에 옮겼다.

마크롱은 파리를 찾은 트럼프를 위해 레드 카펫을 깔아주고 웅장한 군대식 예절로 대접한 후 자신이 워싱턴을 국빈 방문했을 때는 트럼프에게 엄청난 친밀감을 과시했다.

하지만 캐나다 퀘벡에서 치러진 G7 정상회담에서 트럼프라는 암초를 만난 아베나 마크롱, 그리고 다른 세계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은 가능성 때문에 치를 떨어야 했다.

‘트럼프라는 인물에 대한 예측이 아무 것도 들어맞지 않으면 어쩌지? 트럼프를 달랠 수단이 없으면 어떻게 하지?’

트럼프는 실용주의자가 아니며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실용적인 적이 없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장은 너무도 완강하다.

마찬가지로 트럼프는 과시욕에 사로잡힌 단순한 사람이 아니라는 주장에도 동조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트럼프에게는 이데올로기가 있다. 세계의 지도자들은 트럼프의 ‘미국 우선(America First)’이라는 구호나 이번 G7에서 외친 ‘우리(미국)는 모두에게 털리는 돼지저금통이 아니다’라는 말을 곱씹어봐야 한다.

트럼프가 미국의 이익을 위해 세계를 향해 불만을 털어놓을 때의 확신은 버니 샌더스 의원이 지닌 사회주의에 대한 확신에 못지않다.

캐나다나 멕시코를 상대로 북아메리카 FTA 협상에 임할 때 트럼프가 자꾸 골대를 이리저리 옮기거나 유럽, 일본을 상대로 한 철강 수입에 관세를 부과할 때 진부한 ‘국가 안보’를 들고 나오는 근본 이유 모두 이러한 트럼프와 미국의 불만에서 찾을 수 있다.

트럼프의 무역 부분 자문위원인 피터 나바로는 <폭스뉴스 선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나의 주된 업무는 대통령이 좋은 일자리를 만들도록 돕는 일이다. 미국의 노동자들에게 양질의 제조업 일자리를 제공하도록 돕는 일인 것이다. 그리고 미국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현존하는 세계 질서를 뒤집지 않으면 안 된다. 작금의 세계 질서는 너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밝혔다.

찰스 레인은 ‘현존하는 세계 질서를 뒤집지 않으면 안 된다’는 말에 방점을 찍었다.

트럼프의 신념은 조악한 이데올로기일지는 모르지만 전적으로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의 사상은, 미국이 진주만 공격을 받기 이전, 유럽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지고 있던 전쟁에 개입하지 않으려던 미국 우익들의 정서에 뿌리를 두고 있다.

우방국가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세계의 안전판 역할을 해주기 바라지만 이에 대한 트럼프의 반감은 2차 세계대전 이전의 미국 정치에 불었던 보수적이고 내정중심적인 정서에 닿아있다. 당시를 풍미했던 미국 중심주의의 불씨가 20세기를 거치면서도 전혀 꺼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징표라 할 수 있다.

트럼프가 협상에 열성적으로 임하는 지도자들은, 미국에 우호적이든 적대적이든, 현재로서는 특이하게도 독재자들이 많다. 이집트,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북한의 지도자들이 그들이다.

국가 안보를 내세워 G7국가들의 철강 수출에 관세를 부과할 기세이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위반한 중국 회사 ZTE에 대해서는 처벌을 완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대화를 위한 중국 시진핑의 사전 노력을 치하하는 뜻에서 이와 같은 자비를 베풀었다고 나바로는 설명했다.

트럼프에 대한 일방적 통념에 기대는 점 말고도 우방 국가들의 잘못은 또 있다.

전임 오바마 행정부가 예의를 갖춰서 우방들에게 미국 무역적자를 해결해보자고 호소했지만 우방들은 이를 매몰차게 거절했었다.

2013년 오바마 행정부의 재무장관은 비교적 부드럽게 독일의 무역 흑자가 날이 갈수록 늘고만 있다고 비난 했지만 독일의 앵겔라 메르켈 총리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했었다.

아무튼 현재로서는 무엇 하나도 트럼프의 독선을 정당화하지 못할 뿐 아니라 우방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풀어주지도 못한다.

찰스 레인은 다음과 같이 다소 냉소적인 결론을 내놓고 있다. 

“우방 국가들은 스스로 살길을 찾을 수 없다면 지금이라도 트럼프가 원하는 바를 전적으로 들어줘야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에는 두 가지 문제점이 도사리고 있다. 하나는 트럼프가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정확히 밝힌 바가 없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트럼프가 모욕적인 언사를 남발하고 나서 본격적으로 흥정에 나설 때는 우방국의 정상들은 굴욕감을 감수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이다.

우방국의 정상들이 진정으로 도널드 트럼프의 비위를 맞추고 싶거든 그들은 미국 공화당 정치가들을 찾아가서 조언을 들어야 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거짓말쟁이’ 테드 크루즈부터 만나봐야 할 것이다.

dtpchoi@naver.com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