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증권은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681억원, 당기순이익 506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2015년 503억원 이후 창사 이래 최고치다.
현대차증권에 따르면 영업익은 전년 대비 2%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0.7% 늘어났다. 세전이익은 692억원으로 전년보다 4.9% 증가했다.
지난해 현대차증권의 실적 성장은 IB부문이 견인했다. IB부문은 1015억원의 순영업수익을 냈다. 부동산 PF 뿐만 아니라 도시바메모리 비전환우선주 인수금융, 아부다비 대학교 투자, 본느 코스닥 이전상장 등 다양한 딜을 주관하며 수익구조 다변화는 물론 수익도 크게 증가했다.
특히 리스크로 우려됐던 우발채무액을 줄이면서 발생한 수익 감소분을 금융 주선 및 양질의 IB 거래 강화의 체질개선으로 상쇄했다.
우발채무 비중은 2016년 3분기 이후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 비율을 100%이하로 줄였으며, 2016년 말 기준 97.71%(7362억원), 2017년 말 기준 76.7%(6069억원), 2018년 말 기준 75.2%(6343억원)로 우발채무 비중을 축소했다.
리테일 부문도 2017년에 이어 2년 연속 연간 흑자를 기록했다.
현대차증권은 주주 이익 환원과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올해도 결산 배당으로 보통주 1주다 450원의 현금배당을 진행할 예정이다. 배당금 총액은 약 132억원 규모이며, 배당주식 총수는 2933만7111주다. 배당기준일은 2018년 12월 31일이다. 최종 배당금액은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 승인에 의해 확정할 방침이다.
현대차증권은 현대차그룹에 편입 된 후 2011회계연도 결산배당을 시작으로 2013년 한 해를 제외하고 매년 꾸준히 배당을 실시하고 있다. 현대차증권의 2018년 결산 기준 배당성향은 26.1%다. 전년도 결산 기준 코스피 배당성향은 18.6%였다.
현대차증권 관계자는 “지난해는 현대차증권이 창사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한 만큼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고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현금배당을 결정했다”며 “올해는 '수익원 다각화 및 정도경영을 통한 성장 기조 정착'을 경영방침으로 삼고 현대차증권의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키리크스한국=유경아 기자]
yooka@wikileaks-k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