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문제 여전히 난항...‘고용탄성치’ 금융위기 후 9년만에 최저
일자리 문제 여전히 난항...‘고용탄성치’ 금융위기 후 9년만에 최저
  • 강혜원 기자
  • 승인 2019.01.27 08:55
  • 수정 2019.01.27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작년 한국 경제의 고용 창출력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27일 한국은행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자료(속보치)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경제 성장에 따른 고용 변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고용 탄성치'는 2018년에 0.136으로, 2009년( -0.518) 이후 9년 만에 가장 작았다.

고용 탄성치는 취업자 증가율을 실질 GDP 증가율로 나눈 값으로, 경제 성장이 일자리 창출로 얼마나 이어지고 있는지를 가늠하는 지표다.

고용 탄성치가 크면 산업 성장에 비해 취업자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고용 탄성치가 작으면 성장 규모에 견줘볼 때 취업자는 좀처럼 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고용 탄성치는 최근 수년 사이에 대체로 하락하는 흐름이다. 2014년에 0.707까지 상승했다가 2015년 0.388로 확 떨어졌다.

2016년(0.302)과 2017년(0.390)에 이어 작년에 다시 낙폭을 키우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후 가장 낮은 수준이 됐다.

고용 탄성치가 기록적으로 낮아진 것은 산업은 성장하지만, 일자리는 별로 늘지 않는 상황을 보여준다.

지난해 취업자 수는 2천682만2천100명으로 2017년보다 9만7천300명(0.4%) 증가했다.

2017년 취업자가 전년보다 31만5천700명(1.2%) 증가한 것에 비춰보면 작년에 증가 폭이 현격히 축소했다.

2018년 실질 GDP 증가율은 2.7%로 전년보다 0.4% 포인트 하락한 수준이었다.

경제 성장보다 일자리 증가가 둔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한국 경제의 구조적 변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반도체나 장치산업 등 고용 유발 효과가 낮은 산업이 성장을 주도했고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산업이 저조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 투자가 전반적으로 위축하는 가운데 기업이 채용에도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자료에 의하면 건설업의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2017년 7.1%에서 2018년 -4.2%로 하락했고 설비투자 증가율은 2017년 14.6%에서 2018년 -1.7%로 급락했다.

이밖에 15∼64세 인구가 지난해 감소로 전환하는 등 생산 가능 연령대의 축소도 고용 탄성치 하락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있다.

전문가들은 생산성 측면에서 볼 때 고용 탄성치 하락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경제 전반을 고려하면 고용효과가 큰 산업이 함께 성장하도록 구조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위키리크스한국=강혜원 기자]

laputa813@wikileaks-kr.org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