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관계부처 반대, 아직 어려워”

백령도와 대청도 어민들이 해양수산부의 '서해5도 어장 확대 방안'에 반발해 해상시위를 준비하고 있다.
이 방안에 백령도와 대청도 근해는 제외됐기 때문이다.
27일 인천 옹진군 백령도·대청도 어민들에 따르면 두 섬 어민 전원이 다음 달 초 서해 북방한계선(NLL) 부근에서 어장 확대를 요구하는 해상시위를 벌일 계획이다.
장태헌 백령도선주협회장은 “서해5도 어장 확대 방안에 백령도와 대청도 근해는 제외됐다.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두 섬 어민 전원이 참여할 계획이다. NLL 방향으로 우리가 요구하는 어장까지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백령도와 대청도 근해가 제외된 건 국방부의 요구가 그대로 반영된 결과”라며 “정부는 여전히 서해5도 어민을 불순분자나 길가의 어린아이 취급하며 신뢰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해수부는 지난 20일 서해5도 어장 확대와 조업시간 연장 방안을 발표했다. 현행 1614㎢에서 245㎢ 늘어난 1859㎢로 확장하고, 조업시간도 일몰 전후 각 30분씩 늘린다는 내용이다.
다음 달 관련 규정을 개정해 봄 성어기가 시작되는 오는 4월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확대되는 어장은 연평도 동남쪽 근해 46.58㎢와 서남쪽 근해 43.73㎢, 소청도 남쪽에 신설되는 D어장 154.55㎢다. 백령도에서 50~100㎞ 거리다.
현재 백령도‧대청도‧소청도는 주변어장이 368㎢다. 인근의 A(61㎢)‧B(232㎢)‧C(138㎢)어장을 모두 합쳐도 연평도 주변어장의 815㎢에 못 미친다. 특히 백령도는 섬의 동쪽 끝에서 진출할 수 있는 거리가 800m에 불과해 어장 확대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하지만 해수부는 관계부처의 반대 의견을 이유로 당장 백령도와 대청도 주변어장의 확대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백령도, 대청도는 기본적으로 NLL과 가깝다. 해군의 작전 기동로 확보 등을 이유로 관계부처에서 어장 확대가 어렵다는 의견을 내놨다”며 “남북관계가 더 개선된다면 추후 논의를 통해 어장확대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1981rooste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