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 무리수 둔 민간항공기 제작 도전…MRO 사업은 가능할까
한국항공우주, 무리수 둔 민간항공기 제작 도전…MRO 사업은 가능할까
  • 문수호 기자
  • 승인 2019.03.06 15:39
  • 수정 2019.03.07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항공업체들 자체 정비율 높아, 일부 LCC 항공사만 이용할 듯
수요 많지 않은 MRO 사업마저 인천 샤프테크닉스케이와 양분
MRO 정비사업단지 조성 필요한데 정비단가 문제 걸림돌
제주항공이 사천 MRO 정비업체 KAEMS에 항공기 정비를 맡겼다 [사진=제주항공]
제주항공이 사천 MRO 정비업체 KAEMS에 항공기 정비를 맡겼다. [사진=제주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민간항공기 사업 진출을 선언한 가운데 항공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정비 사업이라도 제대로 챙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조원 KAI 대표는 2030년대 민간항공기 사업 진출을 표명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항공운수업체들은 KAI의 양산기 생산에 대해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양산기 생산 가능성보다 김조원 대표의 최근 미국 고등훈련기 등 굵직한 해외 사업 수주 실패에 대한 돌파구성 발언으로 보고 있다.

김조원 대표는 사장으로 선임된 이후 어느 정도의 성과를 달성하는 데는 성공했다. KAI에 따르면 지난해 425사업 및 기체부품 추가 수주를 통해 2018년 KAI 수주목표였던 2조6775억원을 넘어선 2조8599억원을 달성했다.

의무후송전용헬기, 수리온창정비 등 군수사업 분야에서 3488억원을 수주했고, 민수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적을 냈다는 게 KAI 측 설명이다. KAI는 지난해 425, B787-9 FTE, B737 미익, B76 Sec48 등 민수사업에서 2조3594억원을 수주했다.

또 인도네시아 KT-1B 2대, T-50i 성능개량, T-50TH 후속지원 등 완제기 수출 부문에서 1518억원의 수주를 올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고등훈련기(APT) 사업에서 상황을 오판해 최종 사업 입찰에 실패했고, 미국산 블랙호크에 밀려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의 필리핀 수출 역시 좌절됐다. 이들 사업의 수주 실패는 기술력 부족은 물론, 원가 부문에서의 열세를 여실히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선 기술력 확보 후 2030년대 중반에 민간항공기를 양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항공업계의 반응은 싸늘하다. 특히 항공기 양산을 위해 뒷받침 돼야 할 항공기 MRO 사업의 준비 부족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아직 국내 항공기 MRO 사업의 위상은 변변찮다.

KAI가 주축이 된 한국항공서비스(KAEMS)가 최근 국토교통부의 정비능력인증 심사와 제주항공 및 이스타항공의 항공기 정비품질 심사를 통과했지만, 결과는 장기적으로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항공기 중정비 사업이 국내로 전환될 경우 상당한 수입 대체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평가도 있지만, 국내 항공기 MRO 사업에 대한 시선이 호의적이지만은 않다.

국내 항공업계의 경우 대한항공은 100%에 가까운 자체 정비가 가능한 시설과 인력을 갖추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도 자체 정비율이 50% 수준에 달하는데, 사업 경쟁을 했던 국내 MRO 업체에 정비를 맡기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실상 자체 정비능력이 없는 저비용항공사(LCC)들만 이용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 수요마저도 인천의 샤프테크닉스케이와 나눠 갖고 있다. 인천에서 항공 MRO 사업을 벌이고 있는 샤프테크닉스케이는 티웨이항공이 이용하고 있다.

중정비 사업은 LCC 항공사들이 진행하기에는 알맞지 않다. 운항 항공기 대수가 어느 정도 규모에 이르러야 가능한 사업으로 정비단가를 맞추기가 쉽지 않아 국내 LCC들은 대부분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에 위치한 MRO 전문 업체에 정비 위탁을 맡겨왔다.

항공업계에서는 MRO 정비사업단지가 정착되지 않으면 국내에서 양산기 생산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대규모 사업단지가 조성돼야 하는데 국내 항공업체들의 참여가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자체 정비율이 50% 수준인 아시아나항공도 인력비용 등을 이유로 MRO 사업단지 조성에 부정적인 의견을 보이고 있다.

이밖에 항공업체들이 갖고 있는 항공기 구매 프로세스를 바꾸기가 쉽지 않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90~100인승 이하의 소형 항공기를 이용할 노선도 국내에 많지 않다. 저비용 항공사들의 항공기 좌석은 대부분 189석 규모다.

김조원 대표가 구상 중인 민간항공기 사업 진출 목표가 2030년대 이후까지 이어질지도 확신할 수 없다. KAI 특성상 정부 인사로 매번 대표가 바뀌는 만큼 사업 지속성 여부를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위키리크스한국=문수호 기자]

 

msh14@wikileaks-kr.org

기자가 쓴 기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