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화재, 결국 또 '인재'…반복되는 판박이 참사
이천 화재, 결국 또 '인재'…반복되는 판박이 참사
  • 정예린 기자
  • 승인 2020.06.15 18:02
  • 수정 2020.06.15 18: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8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경기도 이천시의 한 물류창고 공사장 화재 현장에서 지난달 경찰과 소방당국, 국과수 등 관계자들이 3차 합동감식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8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경기도 이천시의 한 물류창고 공사장 화재 현장에서 지난달 경찰과 소방당국, 국과수 등 관계자들이 3차 합동감식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8명의 사망자를 낸 경기 이천 물류창고 공사 현장 화재 참사가 결국 인재로 판명났다. 안전조치를 제대로 취하지 않은 채 용접작업을 하다가 불티가 가연성 소재에 튀면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화재와 더불어 8명 사망, 4명 부상 2008년 서이천 물류창고 화재. 9명 사망, 69명 부상 2014년 고양 종합터미널 화재. 4명 사망, 47명 부상 2017년 화성 동탄 메타폴리스 상가 화재까지. 이 사건들의 화재 원인이 모두 용접 불티에 의한 것이었다. 

현장 곳곳에서 안전을 무시하고 공사를 밀어붙인 흔적도 드러났다. 특히 공사 기간 단축을 위해 당초 예정보다 두배 많은 인력을 현장에 한꺼번에 투입한 데다 결로를 막겠다며 대피로까지 폐쇄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복되는 인재를 막기 위해 관련법이 생겼지만, 화재가 주로 발생하는 공사 현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지켜지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크다.

이 사건을 수사중인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15일 경기 이천경찰서에서 가진 중간수사 결과 발표에서 “이천 화재는 공사장 지하 2층에서 용접 작업 중 발생한 불티가 가연성 소재인 건물 천장의 벽면 우레탄폼에 튀어 불길이 치솟은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렸다”고 밝혔다. 

경찰은 소방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 7개 기관가 4차례에 걸쳐 진행한 합동 감식 등을 통해 이번 화재가 공사 현장 지하 2층 천장에서 시작된 것으로 판단했다. 

당시 근로자 A씨가 바닥에서부터 8.8m 높이 천장에 설치된 유니트쿨러(실내기) 배관에 대한 산소용접을 위해 고소 작업대 위에 올라가 작업을 진행하던 중 발생한 불티가 천장의 벽면 속에 도포돼 있던 우레탄폼에 붙어 화마가 됐다는 것이다.

경찰은 A씨가 작업하던 실내기 주변이 상대적으로 심하게 탄 점, 근처에서 발견된 용접에 쓰이는 산소 용기와 LP가스 용기의 밸브가 열려있던 점 등을 토대로 이같이 판단했다.

불길이 갑자기 치솟은 원인으로는 불이 처음에는 연기가 발생하지 않아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무염 연소 형태로 진행되며 천장과 벽면의 우레탄폼을 타고 확산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소방청 관계자는 "용접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티는 1600~3000도의 고온으로 우레탄폼 등의 단열재에 튀게 되면 곧바로 화재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안으로 타들어 갔다가 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뒤 본격적으로 불길이 치솟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연기 없이 우레탄폼을 타고 번지던 불이 산소 공급이 원활한 지하 2층 출입문 부근에서 폭발적으로 확산해 피해가 커진 것으로 경찰은 추정했다. 연기가 없던 데다 불이 천장에서 시작돼 근로자들은 타는 냄새도 맡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용접 작업을 한 A씨 역시 대피하지 못하고 숨진 채 발견됐다.

15일 오전 경기도 이천경찰서에서 반기수 경기남부지방경찰청 2부장이 이천 물류창고 신축공사 현장 화재사고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5일 오전 경기도 이천경찰서에서 반기수 경기남부지방경찰청 2부장이 이천 물류창고 신축공사 현장 화재사고 중간 수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처럼 용접 불티가 화마로 이어지는 경우는 부지기수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에 따르면 용접 불티가 원인이 된 화재는 2017년 1168건, 2018년 1134건, 지난해 1106건으로 매년 1000여 건씩 반복되고 있다.

인명·재산 피해는 2017년 10명 사망·88명 부상·101억원, 2018년 6명 사망·98명 부상·331억원, 지난해 3명 사망 80명 부상·116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존 규정에 더해 사업주는 화재 위험 작업을 하기에 앞서 불꽃·불티가 튀어 불이 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처를 하고 근로자들에게 화재 예방·피난 교육을 해야 하며 작업 전체 과정에 대한 안전조치 시행 여부 등을 점검해 모든 근로자가 볼 수 있도록 현장에 게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공유해야 한다는 내용 등이 추가됐다.

화마를 불러일으킨 문제의 용접작업은 별다른 안전조치 없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로자는 용접작업을 할 때 방화포와 불꽃·불티 비산 방지 덮개 설치 등의 조처를 해야 하고 2인 1조로 작업해야 함에도 이러한 규정은 지켜지지 않았다.

관련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토록 판박이 인재가 되풀이되는 데 대해 공사 현장에서는 "돈 앞에서 가장 먼저 무시되는 것이 안전"이라고 입을 모았다.

수의계약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현장에서 최저입찰제 방식으로 시공업체를 선정하기 때문에 안전 관리 예산을 충분히 반영하면서 입찰을 따내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화재 감시인은 당시 작업 현장을 벗어나 불을 빨리 발견하지 못했으며 관리·감독자들은 화재 위험 작업 전 안전 관련 정보를 공유하지 않았고 화재 예방·피난 교육도 하지 않는 등 총체적인 안전관리 소홀이 확인됐다.

인명피해가 컸던 이유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우선 화재 당일에 평상시보다 약 2배 많은 67명의 근로자가 투입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계획보다 많은 인력과 장비를 투입한 것이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지상 2층의 경우 조리실 내부 주방 덕트와 소방배관 작업 등에 18명이 투입됐다가 모두 사망했다. 또 5월 초부터 진행될 예정이었던 엘리베이터 작업은 화재 발생 하루 전인 4월 28일부터 시작됐고 이 작업에 투입됐던 3명도 결국 숨졌다.

공사 편의를 위해 현장 곳곳에서 이뤄진 안전을 도외시한 행위들도 인명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됐다.

애초 이 공사 현장의 유해위험방지계획서에는 지하 2층에서 화재 등 위험 발생 시 기계실로 통하는 방화문을 거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됐지만, 현장에서는 방화문을 만들지도 않았다. 이에 더해 방화문이 있어야 할 공간을 비워둘 경우 결로현상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로 이 공간을 벽돌로 쌓아 폐쇄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하 2층에서 숨진 4명은 이렇게 쌓인 벽돌을 뚫고 대피하려다가 실패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지상 1층부터 옥상까지 연결된 옥외 철제 비상계단은 설계와는 달리 외장이 패널로 마감돼 지하 2층에서부터 시작된 화염과 연기의 확산 통로가 됐다. 결과적으로 비상계단을 이용한 대피가 차단돼 다수의 근로자가 대피하지 못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우레탄폼 발포와 용접 등 화재와 폭발의 위험이 있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거나 일정을 조정해 피하려고 한 정황도 확인되지 않아 공사 전반에 걸쳐 동시 작업이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안전조치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경찰은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 혐의로 발주처인 한익스프레스 임직원 5명과 시공사인 건우 임직원 9명, 감리단 6명, 협력업체 4명 등 24명을 입건했다.

이 가운데 발주처 1명, 시공사 3명, 감리단 2명, 협력업체 3명 등 9명에 대해서는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 관계자는 "공기단축, 안전을 도외시한 피난 대피로와 방화문 폐쇄, 임의시공, 화재 및 폭발 위험작업의 동시시공, 임시 소방시설과 비상 경보장치 미설치, 안전관리자 미배치 등 다수의 안전수칙 미준수 사실이 확인됐다"며 "구속영장을 신청한 9명은 특히 책임이 무겁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화재 발생과 피해 확산의 근본적 원인이 된 공기단축과 관련한 중요 책임자들에 대해 집중 수사하는 한편 공사 과정에서의 다른 불법행위 등에 대해서도 계속 수사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현장에서는 안전관리 예산을 공사 규모에 맞춰 일정 비율로 고정해 최저 입찰과 별도로 산정하도록 하는 등 제도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B 종합건설사 관계자는 "최저입찰 항목에 안전관리비가 포함돼 감축의 대상이 되는 만큼 이를 별도로 산정하고 다른 데 전용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장 근로자들 스스로가 안전에 대한 의식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C 종합건설사 관계자는 "안전관리자는 일반직이 아니고 대체로 나이가 젊은 경우가 많아 다른 근로자들에게 무시당하거나 지시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용접 작업 때는 불티 비산 방지 덮개를 꼭 사용하고 고공 작업 시엔 안전 장비를 꼭 착용하는 등 스스로 안전을 챙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화재는 지난 4월 29일 오후 1시 32분께 이천시 모가면 한익스프레스 물류창고 신축공사 현장에서 발생했다.

이 불로 근로자 38명이 숨지고 10명이 다쳤다. 최근 10년간 이보다 더 많은 사망자가 나온 화재 사고는 45명이 숨진 2018년 밀양 세종병원 화재뿐이다.

[위키리크스한국=정예린 기자]

yelin0326@wikileaks-kr.org

기자가 쓴 기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