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언론, 국민신뢰 되찾자(하) 일부 인터넷 매체들, 차별화 콘텐츠 보다 악의적 기사로 기업들 압박

2018-08-03     특별취재팀

매년 수백개씩의 매체가 등장하고, 수십개씩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통과하는 온라인신문시장은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홍보 예산 축소에도 기존 매체들의 광고를 줄일 수는 없는 기업 홍보실 관계자들은 " 온라인매체를 선별적으로 관리할 수 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다.

기본적인 기사 검증-편집 시스템조차 갖추지 않은 부실한 온라인 매체까지 광고를 집행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기업들로부터 외면받는 상당수 온라인 매체들은 기업들로부터 광고를 받기 위해 악의적 기사를 남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매체간 법적 소송으로 간 기사들을 모두 '무리한 기사'라고 볼 수는 없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온라인 매체의 문제점을 반영하고 있다. 

매년 법원이 선고하는 언론 관련 민사 판결 중 인터넷 매체를 상대로 한 사건은 3년 연속 50%를 웃돌고 있다. 

언론중재위원회가 지난해 법원에서 선고한 언론 관련 판결 183건을 분석해 발간한 '2017년도 언론 관련 판결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소송이 가장 많이 제기된 매체는 인터넷 매체(언론사닷컴, 인터넷신문)로 전체 소송 중 절반 이상(54.8%)을 차지했다. 그 다음은 방송(23.8%), 일간지(13.9%), 주간지(4.4%)가 이었다.

A기업의 홍보담당 김 모 상무는 "법률적인 자문을 거치는 가운데 '증거는 부족하지만 국민들의 알권리를 위해 이 기사는 꼭 나가야 한다'는 소신으로 보도하는 기사는 소송도 불사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며 "하지만 대부분 소송으로 간 기사들을 보면 충분한 취재가 돼 있지않고, 상대방이 합리적으로 해명했는데도 무시하고 소문만 신뢰하고 보도를 밀어부치는 경우"라고 말했다.

기사들을 살펴보면, 기업CEO나 전문경영인 사진, 선정적 제목을 사용하고, 갑질 등 사회적 이슈와 엮거나, 정부정책의 기조에 반한다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대부분 왜곡·과장 기사를 통해 기업에게 광고를 압박하는 언론의 정도를 벗어난 ‘갑질 매체’의 전형적인 모습을 띠고 있다는 설명이다.

B기업의 최 모 전무는 "전문성이 떨어지는 일부 인터넷 매체 오너들이 기자 출신 인사를 대표 또는 부사장급으로 영입한 후, 기업들을 대상으로 무리하게 광고증액을 요구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구악 경험을 살려 부정적 기사를 작성하거나 또는 몇 년 지난 이슈를 재활용하는 전문적인 기술자를 영입하는 방식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언론사로서 최소한의 자체 팩트검증 기능을 갖추지 못한 인터넷언론들이 우후죽순처럼 포털을 통해 기사를 노출하고, 이에 대한 반론이나 정정보도는 외면하면서 기업들이 입는 피해가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최근의 미디어 부실 논란은 포털의 뉴스검색 제휴 정책이 모든 문제의 발단이라는 지적도 있다. 우리나라 최대 포털인 네이버는 700여개의 언론사와 뉴스검색제휴를 맺고 있는데 매년 제휴 언론사는 급증하는 반면, 문제가 있는 매체에 대한 퇴출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지적이 높다.

일정 기준을 통과하면 포털에 뉴스를 공급하도록 하는 현행 제도를 유지하려 한다면 문제가 있는 매체에 대해 퇴출 조치도 그만큼 엄격하게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C기업의 이 모 홍보실장은 "온라인 매체들이 많이 등장하지만, 차별화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매체들과는 기업들이 중장기적으로 협력 관계를 맺어나가려고 한다"며 "신생 매체는 물론, 이미 포털을 통해 뉴스를 제공하고 있는 매체들의 경우 편집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콘텐츠를 어떻게 특화해나갈 것인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리즈 마칩니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