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비밀문서] "이스라엘산 안돼, 미국산 구입하라!"... 미국, 노무현 정부 때 보잉 ‘조기경보기’ 도입 압박
[WIKI 비밀문서] "이스라엘산 안돼, 미국산 구입하라!"... 미국, 노무현 정부 때 보잉 ‘조기경보기’ 도입 압박
  • 최석진 기자
  • 승인 2022.12.19 05:51
  • 수정 2023.01.02 05: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보잉사의 조기경보기 E- 737. /연합뉴스
미국 보잉사의 조기경보기 E- 737. /연합뉴스

노무현 정부 당시 이스라엘산 조기경보기(EX)를 도입키로 했으나, 미국의 압력에 굴복해 보잉사 제품으로 바꾼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은 당시 전시작전통제권 이양시기를 무기로 한국 정부를 강하게 압박해 자주국방 정책을 추진하던 노무현 정부를 무력화시켰던 것이다.

위키리크스가 입수한 2006년 6월 25일자 주한미국대사관의 본국 국무부 보고 기밀문건(06SEOUL2094)에 따르면 알렉산더 버시바우 대사는 23일 윤광웅 당시 국방부 장관을 만나 “조기경보통제기(EX, 피스아이) 조달 사업에 대한 시간표와 규칙이 보잉사에 불리하게 계속 변경되고 있다”며 실망과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전작권을 환수하기로 한 마당에 최적의 시스템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며 심의위원회가 가격과 효율면에서 앞서는 이스라엘산에 기울었음을 시사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그러나 이태식 주미 대사와 함께 보잉사를 방문했었다는 사실을 상기하며 “최고의 능력과 상호 운용 능력을 제공하는 보잉사를 직접 체험했다”면서 “한국이 시의 적절하게 올바른 결정을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올바른 결정’이란 의미는 보잉사를 선택하라는 압박이었다.

윤 장관은 “상호 운용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고 미국 시스템을 긍정적으로 생각해왔지만, 한국의 조달 과정이 더 개방적이고 투명해졌으며 국방부는 조달 결정 과정에 재량권이 많지 않다”고 답변했다. 

그는 “버시바우 대사의 지적을 이해하지만, 기종을 결정할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는 회의적인 민간 전문가도 포함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버시바우 대사는 전작권 이양과 관련, “시간표와 준비와 관련해 한국 국민들의 기대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며 “인위적인 마감일을 설정한다면 그건 실수가 될 것이며, 전작권 이양은 지휘 및 통제 능력과 기획과 훈련이 제공된 이후에만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버시바우 대사의 압박이 가해진 뒤 한달여가 지난 2006년 8월 3일 제6차 방위사업추진위원회가 개최됐다. 위원회 내에서는과 이스라엘 IAI 엘타사의 G-550 기종을 놓고 갑론을박이 펼쳐졌으나 결국 보잉사 제품을 선택했다.

미국의 강한 압박전략이 성공했던 것이다.

1개월여 후인 9월 6일 버시바우 대사는 윤장관과 다시 회동했다.

버시바우 대사가 9월 8일 본국 국무부에 보낸 비밀문서(06SEOUL3105)는 윤장관이 보잉사 기종을 선정하긴 했으나 가격과 관련해 보잉사와 이견이 있다며 대사에게 불만을 토로했다고 밝히고 있다.

버시바우 대사는 “한국 정부가 보잉 제품을 선정해줘서 감사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사는 “국방부가 직접 보잉과 협상을 해 합의에 도달하기 바란다”면서 가격상승의 책임은 한국 정부에 떠넘겨버렸다.

■ 9월 6일 미 대사와 국방부 장관과의 만남

요약: 윤광웅 국방부 장관은 9월 6일 미 대사와의 논의 동안 전시작전통제권 이양과 관련 한국 사회에 광범위하게 퍼진 논란을 언급하며, 미국 정부가 이행 연도를 2009년으로 강요하지 말고 2012년에 동의할 것을 강하게 촉구했다. 그는 2012년으로 동의하는 것이 한국 사회를 진정시킬 것이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퇴역 장교들과 여타 사람들이 이행을 전폭적으로 지지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미 대사는 전작권 이양에 대한 논쟁의 초점을 한국이 자주권을 다시 가져오고 있다는 잘못된 인식에서, 한미 동맹의 힘과 중요성, 더 균형잡힌 파트너십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으로 옮기는 데 한국 정부가 주력해줄 것을 제안했다.
한 시간에 걸친 회담 동안 윤 장관은 북핵 위협과 관련한 협의도 촉구했으며, 한국은 E-X 조달에 있어 보잉의 가격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출을 늘릴 입장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방위비분담 특별협정 협상이 올해말을 넘길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직도 폭격 훈련장을 지키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유엔 레바논 평화유지군 파병에 대한 한국 정부의 결정은 양국의 현지 안보 상황과 관련한 추가적인 평가를 기다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9월 14일 워싱턴 정상회담이 한미 동맹의 지속적인 힘을 보여주고, 한미 관계에 있어 그 밖의 긍정적인 발전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는 미 대사의 희망에 공감했다. – 요약 끝

<전시작전통제권 이양>

9월 6일 미 대사가 윤광웅 국방부장관의 요청으로 그와 만났다. 면담은 미국 정부가 전시작전통제권 이양 연도를 더 이른 시기로 강요하지 말고 2012년으로 동의해야 한다는 윤광웅의 강한 촉구로 시작과 끝을 맺었다. 전작권 이양은 미국이 한국을 버리는 것이라는 우려가 여야 양당의 반대를 한국 사회와 언론에 널리 퍼지게 만들었다. 윤 장관은 전작권 이양을 앞당기는 것을 지지하는 사람들도 더 긴 이행 기간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만큼이나 한미 동맹의 건전성에 헌신적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하면서도, 2012년이 동맹관계에 훨씬 더 좋을 것이라는 자신의 믿음을 강조했다.
미 대사는 다방면에서 표출된 우려들을 인정했다. 그는 전작권 이양이 3년 뒤에 완료될 수 있다고 럼스펠드 국방부장관과 미군 사령관들이 확신하고 있지만, 얼마나 빨리 이양이 이뤄져야 될 지 상호 동의가 확실하게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미 대사는 동맹의 발전에 있어 긍정적인 국면으로 보여져야 되는 것이 한국 사회에 지나치게 많은 논란과 불안을 낳고 있다는 게 가장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논쟁의 초점을 한국이 자주권을 다시 가져오고 있다는 잘못된 인식에서, 한미 동맹의 힘과 중요성, 더 균형잡힌 파트너십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으로 옮기는 데 한국 정부가 주력해줄 것을 제안했다.

윤 장관은 다음번에 국회에서 이 문제에 관해 답을 할 때 미 대사의 말을 명심할 것이라고 말하며 동의했다. ‘한국이 공유한 가치가 우리가 근본적으로 같은 길을 가고 있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는 함께 동맹관계를 지속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윤 장관은 말했다. 윤 장관은 국회에서의 철저한 논의가 이 문제를 풀기 위한 가장 민주적인 방법이라고 본다고 말하며, 2009년 이양의 정치 문제화에 대한 우려를 계속해서 표현했다. 미 대사는 윤 장관에게 미국의 보완 전력 제공에 관한 그의 최근 발언에 대해, 이는 한국 정부가 더 널리 대중들을 안심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며 고맙다고 했다. 윤 장관은 2012년이 워싱턴에서 있을 한미 안보정책구상회의와 한미 군사협의회/안보협의회에서 한국의 입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미국이 적절한 이행 연도에 합의를 이루고 나면, 한국에서 이 문제가 크게 진정될 것이고, 현재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퇴역 장군들과 여타 사람들이 계획 실행을 전적으로 지지하게 될 것이라고 확신있게 예측했다.

< 북한 핵 문제>
윤 장관은 잠시 북한 핵 문제로 화제를 돌리면서 미 대사에게 북한의 핵실험 위협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전작권 문제에 상관없이 한미가 밀접하게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보잉 E-X 조달>
윤 장관은 E-X(조기경보기) 계획에 있어서 현재 한국 정부와 보잉 사이의 가격 논란을 제기했다. 윤 장관은 한국의 국방 예산과 보잉의 현재 가격이 ‘이질적’이라며, 한국은 이 프로젝트에 지출을 더 늘릴 입장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미 대사는 보잉이 최고 수준의 상호운용과 최고의 역량을 제공하고, 이는 특히 전작권 이양에 중요하기 때문에 한국 정부가 보잉을 선택해서 기쁘다고 말했다. 그는 윤 장관에게 보잉의 하청업체 가격이 7월 1일까지만 보장되기 때문에 가격이 올라갈 것임을 한국에 경고한 것을 상기시키며, 가격 합의를 위한 보잉과의 직접 협상을 독려했다. 안타깝게도 한국은 조달 결정에 도달하기까지 아주 오랜 시일이 걸렸다. 미 대사는 계속 협상을 하면서 이 프로젝트가 빨리 성사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덧붙였다.

< 방위비분담 특별협정 협상>
미 대사는 한국이 적어도 50%를 맡는 보다 동등한 분담을 미국 정부는 바라고 있다고 말하며 방위비분담 특별협정 협상 문제를 제기했다. 윤 장관은 럼스펠드 국방부 장관이 과거 이 문제를 확실히 제기했으며, 윤 장관이 한미 안보협의회에서 다시 다룰 것으로 확실히 기대한다고 대답했다. 윤 장관은 럼스펠드 장관이 이 문제를 제기할 때마다 그 의견들을 외교통상부에 전했다고 말했다. 그는 만족스러운 동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확신하지만, 지난 번처럼 올해 말을 넘어서까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직도>
직도 폭격 훈련장 상황에 대해서 윤 장관은 진전 단계에 있고,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군산시장을 두 번 만났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가 보상 계획을 빨리 발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윤 장관이 알렸다. 이후 군산 주민들이 9월 20일까지 동의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윤 장관은 희망을 좀더 높여도 된다는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이며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 유엔 평화유지군과 이라크>
유엔평화유지군 레바논 파병 계획에 관한 설명 요청에 윤 장관은 반기문 외교부 장관이 전투병력(단순히 의료팀이 아닌)을 레바논에 보내기를 원하지만, 외교통상부는 먼저 현지에 평가팀을 보내는 것을 계획했다고 했다. 이후에 한국 정부가 지상군 파견의 가능성을 포함한 종합적인 토론을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 문제를 맡고 있는 부처인 외교통상부에 그 외 추가 질문을 하는 것을 미뤘다.
이라크 파병 연장에 관한 한국의 계획에 관한 질문에 윤 장관은 한국 정부가 이 문제를 다룰 11월 중순까지 실질적으로 보도 금지령을 내렸다고 답했다. 그는 ‘한미 관계가 복잡해지지 않도록’ 미국 정부 또한 그때까지 공개 발언을 삼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 국회의 국방 위원회가 이라크를 방문해 현재 상황을 평가하고 국론화할 준비를 할 것이라고 했다. 미 대사는 미국에서도 진지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지만, 지금 이라크 사람들을 저버리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대사는 한국의 지속적인 지원이 그곳에서의 노력이 성공을 거두는 데 아주 중요하다고 덧붙이며 우리가 끈기 있게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 한미 정상회담>
미 대사와 윤 장관은 9월 14일 워싱턴에서의 정상회담이 지속적인 한미 동맹의 힘을 보여줌과 동시에, 그 외 한미 관계에 있어 긍정적인 발전과 세계 다른 곳에서의 한국의 헌신을 강조할 기회라는 의견에 공감했다. 우리가 조금 흔들릴지라도 한국과 미국은 결국 양국이 함께 원하는 것에 도달할 것이라고 윤 장관은 미 대사에게 말했다. 그는 또한 노무현 정부가 FTA, 용산 기지 이전, 전작권 이양과 같은 수많은 어려운 문제들과 씨름하기로 했기 때문에, 미래의 한국과 미국의 지도자들은 순항을 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 버쉬바우

원문 링크 https://wikileaks.org/plusd/cables/06SEOUL3105_a.html

■ AMBASSADOR'S SEP 6 MEETING WITH DEFENSE MINISTER YOON

  1. (C) SUMMARY: During a September 6 discussion with the
    Ambassador,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Yoon Kwang-ung cited
    widespread controversy within Korean society over the
    transfer of OPCON issue and strongly urged the USG to agree
    to 2012 as the X year, rather than pressing for 2009. He
    predicted that an agreement on 2012 would calm Korea and that
    retired generals and others voicing concern would come to
    fully support its implementation. The Ambassador suggested
    that Korean officials strive to shift the focus of the OPCON
    transfer debate away from the false notion that Korea is
    "regaining its sovereignty" to instead emphasize the strength
    and importance of the U.S.-ROK Alliance and the fact that it
    was becoming a more balanced partnership.


  2. (C) During the hour-long meeting, Minister Yoon also
    urged close consultation on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claimed the ROK is in no position to increase spending to
    accommodate Boeing's price for procurement of the E-X;
    cautioned that SMA negotiations could stretch beyond the end
    of this year; pledged that he is doing everything in his
    power to secure the Jikdo air-to-surface training range; and
    explained that ROKG decisions on troop contributions to
    UNIFIL in Lebanon and troop extension in Iraq would await
    further assessments of the security situation on the ground
    in both countries. Minister Yoon shared the Ambassador's
    hope that the September 14 summit meeting in Washington will
    serve to demonstrate the continuing strength of the U.S.-ROK
    Alliance as well as highlighting other positive developments
    in U.S.-South Korean relations. END SUMMARY.

  3. OPCON TRANSFER

  4. (C) The Ambassador met on September 6 with ROK Minister

  5. for National Defense Yoon Kwang-ung at the latter's request.
    The meeting began and ended with Yoon strongly urging the
    U.S. Government to agree to 2012 as the year for the transfer
    of operational control, rather than pressing for an earlier
    transition. Concerns that transfer of OPCON equates to U.S.
    "aband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led to widespread
    opposition from both ruling and opposition party members, as
    well as numerous conservative groups throughout Korean
    society and the media. MND Yoon said he believed that those
    advocating early transfer, as well as those calling for a
    longer period of transition, were sincerely committed to the
    health of the U.S.-ROK Alliance, but stressed his own belief
    that "2012 would be much better for the Alliance."

  6. (C) The Ambassador acknowledged the concerns expressed
    from all sides. He stated that SECDEF Rumsfeld and U.S.
    military commanders were convinced the transfer could be
    completed in three years, but we obviously needed mutual
    agreement on how fast the transition should take. The
    Ambassador added that what concerned him most was that what
    should be seen as a positive development in the evolution of
    the Alliance was generating so much controversy and anxiety
    in Korean society. He suggested that Korean officials strive
    to shift the focus of the debate away from the false notion
    that Korea was "regaining its sovereignty" to instead
    emphasize the strength and importance of the U.S.-ROK
    Alliance, and the fact it was becoming a more balanced
    partnership.

  7. (C) Minister Yoon agreed, commenting that he would
    remember the Ambassador's words when next called to answer
    questions on the issue at the National Assembly. "I feel the
    values shared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means we are
    essentially on the same path," Yoon said. "With that as our
    base, I think we should work together to sustain and develop
    our Alliance." Yoon went on to express concern over the
    "politicization" of a 2009 transfer, stating that he believed
    a thorough discussion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was the
    most democratic way to resolve the issue. The Ambassador
    thanked Yoon for recent comments he had made regarding U.S.
    provision of "bridging capabilities," noting that it would be
    useful for the ROKG to more broadly disseminate that
    reassurance to the public. Yoon stated that "2012" would be
    the ROK position going into SPI 10 and the MCM/SCM meetings
    in Washington. He confidently predicted that once the United
    States and the ROK reach agreement on an appropriate "X
    Year," the issue would calm down considerably in Korea, and
    that retired generals and others now voicing opposition would
    come to fully support implementation of the plan.

  8. DPRK NUCLEAR ISSUE

  9. (C) Turning briefly to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10. Minister Yoon told the Ambassador that, regardless of the
    OPCON issue, it was important for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o consult closely as the threat of a North Korean
    nuclear test appeared to be a growing concern.
  11. BOEING E-X PROCUREMENT (AWACS)

  12. (C) Minister Yoon raised the current pricing dispute
    between the ROKG and Boeing over ROK procurement of the E-X
    (AWACS) planes. Calling the ROK defense budget and Boeing's
    current price "disparate," Yoon claimed the ROK was not in a
    position to further increase spending for the project. The
    Ambassador said he was pleased the ROKG selected Boeing
    because it provided the highest degree of interoperability
    and the best capability, which was especially important as we
    transfer OPCON. He encouraged MND to negotiate directly with
    Boeing to reach an agreed price, reminding Yoon that the ROK
    had been warned the price would go up since Boeing's
    subcontractor prices had only been guaranteed until July 1.
    Unfortunately, the ROK had taken a very long time to reach
    its procurement decision. Keep negotiating, the Ambassador
    urged, adding that he very much wanted to see this project go
    through soon.
  13. SMA

  14. (C) The Ambassador raised the SMA negotiation, stating
    that the USG was looking for a more equitable share from the
    ROK of at least 50%. Minister Yoon replied that Secretary
    Rumsfeld had "never failed" to raise the issue with him in
    the past and that he fully expected he would do so again at
    the SCM. Each time the Secretary of Defense did so he
    conveyed those views to MOFAT, Yoon said. He added that he
    was confident a satisfactory agreement could be reached, but
    warned it may not be accomplished until sometime after the
    end of the year, "like last time."

 

 

 

dtpchoi@wikileaks-kr.org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