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언론, 국민신뢰 되찾자(중) '보복 기사' 무서워 영향력 감소해도 기업 광고 못줄이고, 오히려 증액 압박
위기의 언론, 국민신뢰 되찾자(중) '보복 기사' 무서워 영향력 감소해도 기업 광고 못줄이고, 오히려 증액 압박
  • 특별취재팀
  • 승인 2018.08.01 08:37
  • 수정 2018.08.02 05: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들은 별 효과도 없는 언론사들의 심포지엄, 포럼에 '울며 겨자먹기'로 수천만~수억원씩 협찬하고 있다. (사진은 특정 행사와 관련 없음)​기업들은 별 효과도 없는 언론사들의 심포지엄, 포럼에 '울며 겨자먹기'로 수천만~수억원씩 협찬하고 있다. (사진은 특정 행사와 관련 없음)
기업들은 별 효과도 없는 언론사들의 심포지엄, 포럼에 '울며 겨자먹기'로 수천만~수억원씩 협찬하고 있다. (사진은 특정 행사와 관련 없음)​

최근 10여년간 언론시장의 가장 큰 흐름은 종이신문의 감소 추세가 지속되는 반면 인터넷 부문이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방송분야에서는 기존 방송 3사의 시청률이 급감하면서 상대적으로 종편과 케이블TV 시청률이 상승하고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매출과 연결되고 있다.

스마트폰, SNS 확산과 함께 ‘가라앉는 배처럼’ 종이신문의 감소세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ABC협회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조선일보의 유료부수는 전년대비 1.3% 감소했다. 조선일보 유료부수는 2015년 126만여부, 2016년 125만여부, 2017년 123만여부 등으로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유료부수는 동아일보가 73만여부, 중앙일보가 72만여부, 매일경제가 55만여부, 한국경제 35만여부 등 10년 전과는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추락했다. 국민일보, 서울신문, 머니투데이, 서울경제의 유료부수는 6만~13만부 수준이고 나머지 매체들은 5만부 미만이 대부분이다.

신문 유료부수 감소는 매출액,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2013년 매출액이 3413억원이던 조선일보는 2014~2016년 3300억원대를 유지하다 지난해에는 3157억원에 그쳤다. 조선은 꾸준히 400억원 규모의 영업이익을 냈지만 지난해에는 절반선인 210억원으로 떨어졌다.
 
중앙일보는 지난해 168억원이 줄며 매출액 2677억원을 기록했다. 2013년 매출액 892억원의 서울신문은 4년 만에 787억원으로 주저앉았다. 세계일보는 2015년까지 20억원대의 영업이익을 유지했지만, 지난해 2897만원의 적자로 돌아섰다. 2015년 60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서울신문은 2016년 51억원, 지난해에는 49억원으로 감소했다.

종이신문의 위기는 우리나라의 상황만은 아니다. 전세계가 스마트폰시대에 접어들면서 페이스북, 유투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SNS가 종이신문 대신 강력한 뉴스 전달 채널로 변신하면서 미국은 물론 영국, 캐나다 등 전세계에 걸쳐 종이신문 영역이 축소되고 있다.

숱한 매체들의 타블로이드판 전환에도 버텨오던 영국의 대표적인 일간지 '가디언'도 올들어 판형을 베를리너판에서 타블로이드판으로 전환했다. 가디언은 판형 전환으로 한해 영업적자를 수백억원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캐나다 밴쿠버 소재 한 대학의 조사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이용실태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통적 대중매체인 신문과 TV의 뉴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은 전무했다. 학생들은 대부분 '주로 SNS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소통한다'고 답변했다.

국내 종이신문들의 경우 광고, 협찬을 주 수익원으로 해왔기 때문에 지속적인 매출 하락을 역전시킬 수 있는 마땅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대기업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새로운 수익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미래 먹을거리를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광고, 협찬 중심의 현 매출 구조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기업 A사의 마케팅 담당자는 “신문에 전화번호를 넣은 상품광고를 내보면 10만부당 전화 1~2통이 오는데 10만부 미만은 말할 나위도 없고, 10만부 이상을 발행한다는 신문들도 전화 콜수가 2~3건도 안돼 ABC협회의 자료조차 믿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신문광고의 효과는 금액 대비 전혀 없다고 보는게 맞을 것”이라며 “해당 언론사와의 유대관계 때문에 억지로 내는 경우가 많다”고 실토했다.

광고 효과는 줄어들고 있지만 광고를 줄일 경우, 대부분 매체가 그 기업에 대해 가차없이 '응징 기사'로 보복하기 때문에 광고를 줄일 수가 없다는게 기업 홍보담당자들의 지적이다.

언론사들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판매감소에 따른 적자분을 기업들에게 떠넘기려 광고 금액을 늘려달라고 강요하고 있다. 또한 영향력 감소는 감안하지 않은채 '연륜이 더 쌓였다'며 오히려 광고, 협찬 증액 요구만 더욱 거세지고 있다.

기업 내부에서는 광고에다 과도한 협찬에 대해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속으로만 끙끙 앓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협찬 문제는 '비용 대비 효과'를 놓고 홍보실-재무팀간 갈등이 해마다 증폭되고 있다.

메이저 언론사마다 1곳당 매년 4억~8억원, 마이너 매체마다 각각 1억~2억원 안팎의 심포지엄 협찬금을 지원해왔다는 A기업의 홍보담당 임원은 “솔직히 말해 우리 기업과 별 관계도 없는 포럼에 왜 이런 금액을 지출해야 하는지 재무팀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삼고 있고, 실제 이런 불필요한 비용만 줄여도 숨통이 트일 것 같다”며 “하지만 전임자 때부터 있었던 것이고, 곧바로 보복기사가 들어올까 무서워 줄이자는 말도 못 꺼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같은 사정은 신문은 물론, 방송사, 통신사까지 한결같다는게 기업 홍보 임원들의 설명이다. 
[특별취재팀]

6677sky@naver.com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