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래 걷게 되면 다리가 저리고, 당기거나 엉덩이부터 다리까지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이 같은 증상은 50세 이후의 장년층의 경우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할 수 있다. 조금만 오래 걸어도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있으면서 앉아서 쉬면 증상이 호전되는 경향이 있어 가다 쉬다를 반복하게 된다.
반면 30~40대의 비교적 젊은층에서는 갑작스럽게 다리로 내려가는 통증, 저림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 요추 추간판 탈출, 즉 허리 디스크를 의심할 수 있다.
이러한 허리 질환들은 MRI로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게 되며 그에 따라 치료방법이 결정된다. 통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 코어 근육 운동이나 견인 치료 등의 물리치료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통증이 심하고 보존적 치료만으로 효과가 미미할 경우 척추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하게 된다.
실제로 파주에서 자영업을 하시는 A씨는 평소 오래 서 있거나 매장에서 돌아다니며 일을 하는 도중 엉덩이에서 허벅지 뒤쪽으로 당기고 때로는 저린 느낌이 들어 병원을 방문했는데, MRI상 척추관 협착증 진단을 받았다.
피부 절개도 8mm 정도로 매우 작아 눈에 잘 띄지 않을 뿐 아니라 다음날부터 일상 생활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내시경 수술을 선택했고 결과에 매우 만족했다.
송제영 파주 운정 신도시 인본병원 신경외과 원장(사진)은 “척추 협착이나 추간판 탈출 등의 허리 질환에서 보존적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거나 혹은 빠른 일상 복귀가 필요할 경우 많은 종류의 시술을 권유받게 되는데 비교적 간단하고 전신마취에 따른 위험이 없는 내시경 치료가 그 효과면에서 매우 탁월한 수술법”이라고 말했다.
chop23@wikileaks-k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