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 이상의 제임스웹, 인류가 우주탄생의 비밀을 노크하다
상상 이상의 제임스웹, 인류가 우주탄생의 비밀을 노크하다
  • 강혜원 기자
  • 승인 2022.07.13 11:50
  • 수정 2022.07.13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ASA, 기존의 허블(Hubble) 망원경과는 차원이 다른 사진을 우주 사진 보여줘
충돌하는 은하, 별들의 탄생과 생을 다한 별의 가스까지, 외계행성 물까지 확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관측해 12일(현지시간) 공개한 카리나 성운(Carina Nebula·용골자리 성운)의 모습. 지구로부터 약 8천500광년 밖 용골자리 성운 NGC 3324 산개성단 내 별 형성영역이다. [출처=NASA]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관측해 12일(현지시간) 공개한 카리나 성운(Carina Nebula·용골자리 성운)의 모습. 지구로부터 약 8천500광년 밖 용골자리 성운(NGC 3324)은 별의 요람이라 불리며 태양의 몇배에서 수십, 수백배의 큰 항성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NASA]

미국 항공우주국(NASA)12일 메릴랜드주 고다드 우주센터에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찍은 영롱한 보석 빛깔의 풀컬러 우주 사진을 발표했다.

이번 공개된 사진을 보면 대기권 밖을 돌고 있는 기존의 허블(Hubble) 우주망원경과는 차원이 다른 사진임을 보여주고 있다.

허블(Hubble) 우주 망원경이 찍은 '남쪽고리 성운' [출처=NASA]
기존 허블(Hubble) 우주 망원경이 찍은 '남쪽고리 성운' [출처=NASA]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12일(현지시간) 공개한 '남쪽 고리 성운‘ [출처=NASA]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12일(현지시간) 공개한 '남쪽 고리 성운‘ [출처=NASA]

지구에서 2500광년가량 떨어진 성운 내 죽어가는 별 주변으로 형성된 가스구름이 선명히 찍혔다. 이른바 '8렬 행성'(Eight Burst Nebular)으로도 불리며, 성운의 지름이 약 0.5 광년에 달한다.

NASA 관계자는 남쪽고리 성운은 제임스웹 망원경의 근적외선카메라(NIRCam)와 중적외선 장비(MIRI)로 촬영됐다어두워지며 죽어가는 이 별이 내뿜는 가스와 우주먼지를 웹 망원경이 전례 없는 디테일까지 담아 포착했다고 설명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그린벨트의 고다드 우주센터에서 앰버 스트런 미국 항공우주국(NASA)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연구원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용골자리 성운의 우주 절벽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우주 절벽은 용골자리 성운에서 별이 만들어지는 지역으로 NGC 3324로 명명됐다. NASA는 이날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풀컬러 우주 사진과 분광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출처=NASA.연합]
12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그린벨트의 고다드 우주센터에서 앰버 스트런 미국 항공우주국(NASA)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연구원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용골자리 성운의 우주 절벽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우주 절벽은 용골자리 성운에서 별이 만들어지는 지역으로 NGC 3324로 명명됐다. NASA는 이날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풀컬러 우주 사진과 분광 분석 자료를 공개했다. [출처=NASA.연합]

이어 제임스웹은 또하나의 걸작을 공개했다. 이른바 별들의 요람이라고 불리던 용골자리 대성운(Carina Nebula)”이다, 지구에서 7600광년 떨어진 용골자리 성운 내에는 질량이 태양의 100~150배에 달하고 광도가 400만배인 용골자리 에타, 호문쿨루스 성운, 열쇠구멍 성운 등이 속해있다. 밤하늘에서 가장 크고 밝은 성운 중 하나로 꼽히며, 태양보다 몇 배 큰 대형 항성의 산실로 알려져 있다.

또 나사는 춤추는 은하사진도 공개했다. 29천만 광년 밖 페가수스자리에 있는 '스테판의 오중주'(Stephan's Quintet)를 찍은 사진이다.

이 소은하군은 1877년 최초로 발견됐고, 은하 5개 중 네 개가 서로 중력으로 묶여 근접했다 멀어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지난 11일(현지시간)NASA는 백악관 미리보기 행사를 통해 태고의 빛을 담은 SMACS 0723 은하단 사진의 허블과 제임스웹과 비교사진. 디테일이 차원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출처=NASA]
지난 11일(현지시간)NASA는 백악관 미리보기 행사를 통해 태고의 빛을 담은 SMACS 0723 은하단 사진의 허블과 제임스웹과 비교사진. 디테일이 차원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출처=NASA]

아울러 NASA는 아울러 웹 망원경을 통해 지구에서 115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WASP-96 b의 분광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증기 형태의 물을 확인했다. 제임스웹 망원경은 WASP-96 b와 이 행성의 대기가 별 앞을 지나갈 때 발생하는 현상을 관측했고, 이 행성 대기에 수증기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천문학자들은 제임스웹 망원경이 빅뱅 이후 초기 우주에서 별과 은하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보여주는 모습은 물론 외계 행성에서 물의 존재를 확인함에 따라 확인하는 우주의 탄생 및 진화와 외계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규명 등 인류가 우주의 비밀에 한발 짝 다가갔다고 평가하고 있다.

[위키리크스한국=강혜원 기자]

violet813@naver.com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