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2019 바이오플러스’ 웰컴 리셉션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한미약품]](/news/photo/201911/70029_48533_1112.jpg)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은 위기상황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기술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막연한 콜라보레이션(협력)이 아닌, 위기를 함께 탈출하고자 하는 강한 책임감과 헌신, 파트너사(협력사)와 ‘올인’하는 자세로 프로젝트를 수행해 나가고자 하는 열정이 바탕이 될 때 성공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한미약품그룹은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가 지난 11일 서울 강남구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바이오 플러스 웰컴 리셉션’중 ‘서바이벌 전략-오픈이노베이션:한미약품’강연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14일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 이사장이기도 한 임 대표는 이날 강연에서 한미약품그룹의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및 사례, 향후 K-바이오의 미래가치 등에 대해 발표했다.
바이오 플러스 웰컴 리셉션은 지난 12~13일 이틀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한국바이오협회 주최 ‘2019 바이오 플러스’의 전야제였다.
임 대표는 “한미는 한국에서 글로벌 제약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가장 활발하게 맺은 기업으로 꼽힌다”며 “많은 관심을 받았던 한미의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는 사실 그 과정 속에 큰 제약사로부터의 거절, 늘어만 가는 엄청난 연구개발(R&D) 투자에 대한 부담, 프로젝트 성패에 달린 절박감 등이 묻어 있는 성과”라고 운을 떼며 발표를 시작했다.
이어 "이런 관점에서 보면 오픈 이노베이션은 생존을 위한 전략이고, 한미도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에서 순전히 '살아남기 위해' 오픈 이노베이션을 지속 추진해 왔다"면서 "위기가 닥쳤을 때 비로소 혁신을 위한 양보, 즉 위기탈출을 위한 기회로써 기술을 공유하며 성공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을 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또 "최근 대한민국 각 지방에서 구축되고 있는 산업 클러스터에 매우 큰 기대를 갖고 있다”며 “산업통상자원부와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들이 앞장서 혁신산업 육성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고 해외 기관들과도 활발한 산·학·연 연계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이 K-바이오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가속화할 수 있는 매우 좋은 타이밍"이라고 말했다.
임 대표는 한미약품그룹 지주회사의 대표로서 그룹사의 미래 방향에 대한 자신의 생각도 내놨다.
그는 “그룹 지주회사 대표로서 의약품뿐만 아니라 맞춤형 건강관리를 통한 예방과 치료를 연결하는 ‘토털 헬스케어’ 영역에 그룹의 미래 가치가 달려 있다고 믿는다”며 “의약품을 통한 단순 치료를 넘어 병의 근원을 연구하고 예방법을 찾는 일, 치료에서부터 완전한 건강을 되찾는 일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영역에서 한미그룹의 미래 성장성과 잠재력을 찾아보는 중”이라고 밝혔다.
[위키리크스한국=전제형 기자]
jeonbryan@wikileaks-k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