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투자원금 손실에 투자자 '분통'... 카카오·토스도?
P2P 투자원금 손실에 투자자 '분통'... 카카오·토스도?
  • 최종원 기자
  • 승인 2020.03.24 18:24
  • 수정 2020.03.24 17: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업성 없는 상품... 테라펀딩, 소비자 기만"
"토스도 투자건수 대비 원금손실 0원으로 투자자 모집" 주장
테라펀딩이 중개하는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인근 근린생활시설 신축사업' 전액손실을 입은 투자자들은 현재 금감원에 단체민원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테라펀딩이 중개하는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인근 근린생활시설 신축사업' 투자원금 전액손실을 입은 투자자들은 현재 금감원에 단체민원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2년차 직장인 A씨(27)는 지난해 토스 앱으로 개인 간 거래(P2P) 부동산 소액투자에 발을 들였다. 당시 A씨는 테라펀딩이 중개하는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인근 근린생활시설 신축사업에 투자했다. 투자액은 80만원 가량이었고 예상 수익률은 14%로 집계됐다. 하지만 4일 전 해당 상품 투자원금의 전액 손실 사태가 발생했다. A씨는 내일(25일) 투자자들과 공동으로 금융감독원에 단체민원을 접수할 예정이다.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과 더불어 2030세대의 주력 투자처로 각광받는 P2P 금융상품의 투자 피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카카오페이와 토스 등 테크핀 업체가 유사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어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P2P 금융중개업 1위 '테라펀딩'은 지난 20일 사상 최초로 30억원 규모의 투자원금을 전액 손실했다. 테라펀딩 공지에 따르면 이는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인근 신축사업에 투자하는 건축자금 대출상품이다.

감정가 601억원으로 2월 26일에 공매가 시작됐지만 3월 초까지 총 13차에 걸친 공매가 모두 유찰됐다. 테라펀딩 측은 공매 3회차부터 원금손실 구간에 진입할 것이라 공지했다. 3차 공매도 모두 유찰돼 공매 중단이 이뤄졌고 수의계약 체결에 따라 3순위인 테라펀딩은 결국 투자원금의 전액을 날렸다.

테라펀딩은 지난 1월 충남 태안 다세대 신축 재대출 상품과 경기 파주 내 연립주택 신축 대출상품에서도 전액을 손실한 바 있다. 당시 테라펀딩은 각 손실분의 절반 가량을 투자자들에게 '특별 리워드'로 지급하며 전액 손실을 막았다. 반면 이번 세종시 사업은 테라펀딩 자체 보전이 없어 사상 첫 원금전액 손실이 현실화됐다.

전액손실을 입은 투자자들중 상당수는 현재 금감원에 '세종시MVG 상가 투자건'으로 단체민원을 준비하고 있다. 민원을 준비하고 있는 한 투자자는 "2019년 본 상품 출시시점에 상가공실률이 60~70%에 달했고 경매낙찰율이 30% 수준으로 형성돼 사업성이 없는 상태였다"라며 "그럼에도 후순위상품으로 상품출시하여 선관의무를 위반 및 투자자를 기만하여 투자자의 금전적손실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투자자는 "업계 1위를 자부하는 테라펀딩은 '원금손실률 0%'라는 투자자가 오해할만한 내용으로 광고를 진행해왔다"라며 "P2P 금융사는 금융당국의 직접적인 감독을 받지 않아 불완전판매가 성립하지는 않지만 시중은행에서 이런 일이 발생했다면 파장이 매우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토스·카카오페이·뱅크샐러드·핀크 등의 핀테크 앱에서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P2P 금융상품은 젊은 층의 ‘짠테크족(짠돌이+재테크)’들에게 소액 투자상품으로 각광받았다. 모바일 서비스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인만큼 쉽고 빠르게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P2P 금융업계는 최근 3~4년 사이에 가파르게 성장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P2P업체는 242개다. 누적대출액은 약 9조6000억원이다. 대출잔액은 2조3000여억원으로 2015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냈다. 46개의 P2P 금융사가 가입한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P2P 대출누적취급액은 2018년 2월 2조원을 넘긴 이래 올해 2월 6조원을 기록하며 2년 만에 3배 이상 성장했다. 

[사진=금융위원회]
P2P 업체 누적대출액 및 연체율 현황. [사진=금융위원회]

하지만 대출취급액 성장과 동시에 연체율 또한 급증해 채권 부실화도 심화되고 있다. 금융위에 따르면 P2P 대출 연체율은 2017년 말 기준 5.5%에서 지난 2월 말 14.9%로 급증했고 지난 18일에는 15.8%로 늘었다. 여기에 코로나19 확산과 부동산·건설 경기 침체로 투자 위험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금융위는 "투자자들은 P2P대출상품이 원금을 보장하지 않는 고위험·고수익 상품인 점을 분명히 인식해 자기 책임 하에 투자하길 바란다"며 "금융당국은 오는 8월 '온투법(온라인투자연계금융법)' 시행에 맞춰 P2P업체들이 ‘P2P대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있는지 지속 점검하고 현장 검사를 적극 실시하여 수사기관 통보 등 엄중 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키리크스한국=최종원 기자]

sus@wikileaks-kr.org

기자가 쓴 기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