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게임 추격 시급한데”…게임업계, 산업 특성 무시한 ESG 규제에 ‘한숨’
“중국게임 추격 시급한데”…게임업계, 산업 특성 무시한 ESG 규제에 ‘한숨’
  • 강정욱 기자
  • 승인 2023.08.29 17:39
  • 수정 2023.08.29 17: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굴뚝산업' 아닌데 환경평가 받아...개선안도 막막
규제 적용 대상 적지만 향후 확대 가능성에 불안
ESG 관련 이미지. [출처=연합뉴스]
ESG 관련 이미지. [출처=연합뉴스]

게임업계에서 ESG 규제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ESG 규제 마련과 게임산업 경쟁력 확보가 직접적 관련성이 없기 때문인데, 맟춤형 규제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게임사들 사이에서 다른 산업보다 ESG 환경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례로 엔씨소프트의 경우 지난해 국내 평가기관인 한국ESG기준원으로부터 통합 A등급을 받았다. 다만 평가항목별로 살펴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환경평가에서 개선이 필요한 B+등급을 받았기 때문이다. 한국ESG기준원에 따르면 ESG 등급은 S, A+, A, B+, B, C, D 등 총 7개 등급으로 나뉜다. 이중 엔씨소프트가 환경평가에서 받은 B+등급의 경우 비재무적 리스크로 인한 주주가치 훼손의 여지가 다소 있다고 기재돼 있다.

게임사인 엔씨소프트가 환경 평가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한계가 있는 점이 B+등급에 머물러 있는 원인으로 파악된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게임사 차원에서 재생용지 사용을 늘리고 친환경 사옥을 설립하는 것을 제외하면 마땅한 환경평가 개선안이 없다"며 “이러한 측면이 다른 산업보다 박한 평가를 받은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의무공시 도입이 예고된 규제에 대한 불안감도 감지되는 모습이다. 정부는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 ESG의무 공시를 도입할 계획으로 게임업계에서는 엔씨소프트, 넷마블 정도만 포함될 것으로 파악된다. 공시의무화가 되면 현재 자율공시와 달리 게임사들의 공시항목, 공시정보에 대한 책임이 규정될 전망이다. 공시 준비에 대한 부담이 기존보다 커지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앞선 관계자는 “ESG가 세계적인 추세라는 점에서 향후 규제 적용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며 “제도 시행 전 현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ESG 규제 강화보다는 게임산업 경쟁력 강화안 마련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게임업계는 수년간 지속된 모바일 위주의 게임 출시에서 벗어나 스팀, 콘솔 등 플랫폼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MMORPG 위주의 비중을 줄이고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출시하고 있으며 해외 시장도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원신을 기점으로 급부상한 중국게임의 위협에 고품질의 게임 출시로 맞서야 하는 과제도 시급한 상황에서 조직의 역량을 쏟아야 하는 ESG 공시를 준비해야 하는 게 달갑지 않은 눈치다.

한 게임사 관계자는 “2025년도 공시 의무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면서도 “산업별 특성이 상이한 만큼 게임사에 적합한 온실가스 배출량(SCOPE3) 산정 기준이 마련되고 환적용 유예 방안도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27일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기업 100개사 ESG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국내 ESG 공시 제도에 대한 기업 의견'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기업들은 ESG 준비 애로사항으로 '구체적인 세부 가이드라인 미비'(60.0%)를 꼽았다. ESG 공시 의무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과제로는 참여 기업의 82.0%가 '업종별 ESG 공시 세부 지침 및 가이드라인 제공'(82.0%)이라고 답했다.

[위키리크스한국=강정욱 기자]

 

koljjang@wikileaks-kr.org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