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체크] 국감서 '애플페이 질타' 무색하게…카드업계 '추가 도입설' 무성
[이슈 체크] 국감서 '애플페이 질타' 무색하게…카드업계 '추가 도입설' 무성
  • 강정욱 기자
  • 승인 2023.10.17 09:48
  • 수정 2023.10.17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형 카드사 자체 앱업데이트 시행…도입설 배경
가맹점 확대 부진에 추가 도입설 되풀이되는 듯
현대카드 김덕환 대표가 지난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의 질의를 듣고 있는 모습. [출처=연합]
현대카드 김덕환 대표가 지난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의 질의를 듣고 있는 모습. [출처=연합]

올해 국정감사에서 애플페이가 질타를 받았지만 대형 A카드사의 이달 내 도입설이 무성하다. 현대카드를 제외한 다른 카드사의 애플페이 도입이 기정사실인 상황에서 구체적인 도입 시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은 여파로 풀이된다.

1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대형 A카드사가 지난 10일 진행한 자체 앱의 업데이트 내용을 놓고 애플페이 추가 도입설이 확산되고 있다. 이들은 이 업데이트가 버그대응과 함께 애플페이 도입에 대응하는 취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주로 아이폰 사용자들 사이에서 풍문이 돌고 있다. 이들은 이르면 이번주 내나 늦어도 이달 말에 이 카드사에 애플페이가 도입될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아이폰 사용자 외 온라인 상에서도 내부자로부터의 정보라며 이달 내 해당 카드사의 애플페이 도입설을 주장하는 이들이 포착됐다.

앞서 A카드사가 지난 7월 4일 전날 애플 앱스토어에 자체 앱 업데이트 버전을 배포했을 때도 도입설이 제기된 바 있다. 이 해프닝은 해당 카드사가 소비자 불편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라고 해명하면서 일단락됐다.

대형 B카드사를 대상으로 한 도입설도 끊이지 않고 있다. 단순 A카드사 고객뿐만 아니라 카드업계 전체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혼선을 주고 있다는 이야기다. 대형카드사를 대상으로 애플페이 도입설이 되풀이되는 것에는 지난 3월 국내 출시 이후 지지부진한 가맹점 확산이 자리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아이폰에 대한 1020대의 선호가 높고 애플페이에 대한 충성도 역시 높아 개별사들이 애플페이 출시에 합류하는 것은 사실상 시기의 문제"라면서도 "다른 카드사들이 애플페이를 도입할 때까지는 가맹점 확대 부진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고객이 카드 결제를 하고 있는 모습. [출처=연합]
한 고객이 카드 결제를 하고 있는 모습. [출처=연합]

자영업자들이 단말기 비용을 직접 부담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 가맹점 확산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꼽힌다. 실제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애플페이 도입을 위한 단말기 구매 비용이 부담된다는 의견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들 사이에서는 애플페이 결제 여부를 묻는 고객이 적다며 단말기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견해도 나온다.

단말기 비용 부담이 줄어든다고 해도 애플페이의 확산은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정치권에서 애플페이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주시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최근 진행된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은 “국내 애플페이 수수료가 중국보다 5배 비싼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애플페이가 전자금융보조업자로 돼 있더라도 소비자 보호 관점에서 규제수준을 차등화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사기업인 현대카드·애플페이 간의 논리인 애플페이 수수료 문제가 규제 대상으로 도마에 오른 것이다. 이날 국정감사에 출석한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수수료는 사기업 간 문제라며 규제 적용에 난색을 표했지만 현대카드의 경우는 처지가 다르다. 국회 정무위원회의 법안 발의로 인해 카드업계의 업황이 좌지우지될 수 있어 경영상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정치권이 놓은 으름장의 영향인지 A카드사는 이달 애플페이 도입설과 선긋기에 나섰다. 최근 업데이트는 애플페이 도입과 전혀 무관하다는 것이다.

A카드사 관계자는 “이번 업데이트는 기술적인 부분의 단순 업데이트가 필요해 진행했으며 애플페이 도입과는 관련이 없다”며 “현재 애플페이 관련해 별도로 진행하고 있는 내용이 확인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위키리크스한국=강정욱 기자]

koljjang@wikileaks-kr.org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