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중 ‘코로나19(COVID-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나선 기업은 모두 15개사로 파악됐다.
9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기업 15개사가 코로나19 예방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거나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4곳의 정부 기관도 자체적으로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돌입했다.

예방 백신은 GC녹십자,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기존에 독감백신 개발 역량을 갖고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들은 자체 백신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백신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경우 활발한 국내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치료제는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후보물질을 발굴하거나, 기존에 출시했던 의약품에서 코로나19에 효능이 있는지 검증하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한다.

국내 정부기관도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방역에 필요한 신속진단제와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근 8개 연구 과제를 공고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과 다양한 연구기관과 협력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백신과 치료제 개발은 단기간에 이뤄지기 어려운 만큼, 기술적인 측면이나 허가 등 규제적 차원에서 민·관이 협력해야 개발 속도를 앞당길 수 있다.
제약협회는 유럽의 혁신 의약품 이니셔티브(IMI), 미국 국립보건원의 AMP(신약개발 촉진협력) 등 민·관 협력이 활발한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해 백신·치료제 개발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고 설명했다.
원희목 제약협회 회장은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백신과 치료제의 신속한 개발 등 의약주권을 지키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연구개발 역량에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되는 민관협력을 바탕으로 위기 극복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chop23@wikileaks-k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