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분석] 건설사 줄폐업 가시화…미분양‧고금리 등 악재 여파 폐업 ‘1000곳’ 돌파
[이슈 분석] 건설사 줄폐업 가시화…미분양‧고금리 등 악재 여파 폐업 ‘1000곳’ 돌파
  • 김민석 기자
  • 승인 2023.04.14 14:01
  • 수정 2023.04.14 16: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4일 기준 올해 폐업 신고 건설사 1068곳…전년 대비 17% 증가
범현대가 HN Inc‧시공능력평가 109위 대창기업 법정관리 돌입
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7만5000여 가구…2012년 이후 최대
미분양 주택 증가 CG. [사진=연합뉴스]
미분양 주택 증가 CG. [사진=연합뉴스]

지난해부터 이어진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건설업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정부가 1.3 대책을 통해 여러 규제들에 대한 완화 조치를 단행했지만,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건설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는 등 악재들이 한번에 겹치며 자금 여력이 부족한 영세 건설사들은 버텨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14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서 발표한 건설업행정공고에 따르면 올해 폐업 신고한 건설사들은 종합건설사‧전문건설사를 모두 포함해 총 1068곳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년 동기 912곳 대비 17%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부도를 맞은 시공능력평가 202위 우석건설과 388위 동원건설산업에 이어 올해 83위 대우조선해양건설까지 법정관리에 돌입했고, 범현대가 인사가 경영하는 HN Inc와 시공능력평가 109위를 기록한 대창기업도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어느 정도 규모 있는 건설사들 또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줄폐업하는 주된 원인은 미분양 주택 물량이 쌓이면서 공사비 지급이 늦어진 것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만5438가구로, 2012년 11월 7만6319가구 이후 10여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건설사들은 아파트를 시공하면서 지출한 공사비를 분양대금 수령을 통해 수익을 내는 구조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만, 미분양 물량이 늘어나면서 자금 유동성에 크게 손실을 입었을 뿐 아니라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부동산PF 한파 상황도 추가적인 자금 확보가 어려운 상태다.

아파트 분양 CG. [사진=연합뉴스]
아파트 분양 CG. [사진=연합뉴스]

더구나 수도권에 집중된 분양 시장 분위기도 한몫했다. 지방의 인구가 분산되지 못하고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으로만 몰리다 보니, 건설사들도 지방에서는 사업 효율성이 떨어져 수요층이 두텁게 형성돼 있는 수도권 위주로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이에 지방에서는 자금력이 우수하지 못한 소규모 건설사가 시공을 맡으며 분양에 나서다 미분양 사태를 맞고 폐업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미분양 주택 7만5438가구 중 83%에 해당하는 6만2897가구가 지방에 쏠린 현상도 이같은 분위기를 대변한다. 이는 정부가 지난해 말 ‘레드라인’으로 여긴다고 밝힌 6만2000가구를 넘어선 수치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경기 침체 여파로 분양가 하락,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악조건이 계속 유지되고 있고, 최근 타워크레인 월례비 문제와 같은 현장 내 문제들까지 겹쳐 여러모로 건설업계 전반에 무거운 분위기가 감돈다. 모쪼록 건설업 여건이 회복돼 쌓여가는 미분양 물량을 해결하고 줄도산하는 현 상황을 극복했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현재 건설업계의 분위기를 전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 업황이 좋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국내에 많은 건설업체들이 포진해 있기 때문에 일부 업체들이 폐업하더라도 이를 건설산업의 위기나 붕괴로 연결 짓기는 어렵다. 건설업체들의 폐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한정적이라는 분석 자료가 이미 나온 데다가 주택가격의 변동 측면에서 바라보면 건설업체 폐업보다는 미국 기준금리 상승과 같은 외부요인이나 현재 한국의 시장 상황이 더 엄중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지나친 확대 해석에 대해 선을 그었다.

[위키리크스한국=김민석 기자]

alstjr9706@wikileaks-kr.org

기자가 쓴 기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27, 1001호 (공덕동, 풍림빌딩)
  • 대표전화 : 02-702-2677
  • 팩스 : 02-702-16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소정원
  • 법인명 : 위키리크스한국 주식회사
  • 제호 : 위키리크스한국
  •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1
  • 등록일 : 2013-07-18
  • 발행일 : 2013-07-18
  • 발행인 : 박정규
  • 편집인 : 박찬흥
  • 위키리크스한국은 자체 기사윤리 심의 전문위원제를 운영합니다.
  • 기사윤리 심의 : 박지훈 변호사
  • 위키리크스한국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위키리크스한국. All rights reserved.
  • [위키리크스한국 보도원칙] 본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 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립니다.
    고충처리 : 02-702-2677 | 메일 : laputa813@wikileaks-kr.org
ND소프트